"레미브루티닙, 구강과 안구 건조 증상 '쇼그렌 증후군'에 효과"

 BTK(Bruton's tyrosine kinase)억제제 레미브루티닙(remibrutinib)이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쇼그렌 증후군은 체액을 밖으로 분비하는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스며들어 침과 눈물 분비가 줄어들면서 구강과 안구 건조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자가 면역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도 30%에서 쇼그렌 증후군이 나타난다.

 독일 베를린 샤리테(Charité) 의과대학 류머티즘 전문의 토마스 되르너 교수 연구팀은 레미브루티닙이 쇼그렌 증후군의 중증도(severity)를 상당히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2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은 쇼그렌 증후군 환자 73명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엔 경구용 레미브루티닙 100mg을 하루 두 번 투여하고 다른 그룹(대조군)엔 위약(placebo)을 투여하는 방식으로 24주간 진행됐다.

 환자들은 평균 연령이 52세로 여성이 대부분이었고 10년 가까이 쇼그렌 증후군이 진행되고 있었다.

 임상시험 결과 '레미브루티닙 그룹'은 쇼그렌 증후군 증상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유럽 류마티스 학회 쇼그렌 증후군 활성도 지수(ESSDAI: EULAR Sjogren's syndrome Activity Index)가 대조군보다 평균 2.86점 떨어졌다.

 '레미브루티닙 그룹'은 ESSDAI 점수가 임상시험 전의 9점에서 4점 이상 꾸준히 낮아졌다.

 대조군도 첫 8주 동안은 ESSDAI 점수가 급격하게 낮아졌지만, 시간이 가면서 ESSDAI 점수가 다시 올라가 마지막에는 처음보다 평균 2점 미만 낮아지는 데 그쳤다.

 BTK 억제제는 많은 자가면역성 염증 질환을 유발하는 B 면역세포를 억제한다.

 레미브루티닙은 노바티스 제약회사가 개발한 BTK 억제제로 쇼그렌 증후군 외에도 다발성 경화증, 땅콩 알레르기,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같은 다른 자가 면역 질환 치료제로 현재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류마티스 학회(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연례 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국 100개교서 '마음챙김 동아리' 운영 …"마음 건강 함께 챙겨요"
교육부는 10일 서울 시립광진청소년센터에서 '2024년 마음챙김 동아리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마음챙김 동아리는 지도교사와 학생이 교내외에서 친구들과 협력 활동, 캠페인 활동 등을 통해 서로의 마음 건강을 돌보는 동아리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사회 정서 교육을 강화하고 자발적인 마음챙김 활동을 장려하기 위해 전국 100개 초·중·고교에서 마음챙김 동아리를 운영한다. 발대식에는 100여명의 학생과 지도교사가 참여해 마음챙김의 중요성을 알리고, 동아리 활동의 의지를 다진다. 마음 건강을 주제로 한 전문가 강연, 사연을 통한 이야기·음악 콘서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교육부는 마음챙김 동아리 운영을 장려하기 위해 각 동아리에 지도교사 연수(워크숍), 학생 마음챙김 활동 관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연말에 우수 활동 동아리를 선정해 시상한다. 더 많은 학생에게 활동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학기에는 마음챙김 동아리를 운영할 200개교를 추가 모집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앞으로 학생 마음 건강이 최우선이 될 수 있도록 모든 학생을 위한 사회정서 교육, 통합적 지원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종이처럼 접고 자르는 맞춤형 전기자극 물질 개발"
종이처럼 쉽게 접고 자를 수 있는 맞춤형 전기 자극 물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9일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김지윤, 차채녕, 송명훈 교수팀은 무선 전기 자극 기능을 가진 유연하고 생분해 가능한 '종이형 전기 자극 물질'을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 기존 삽입형 전기 자극 기기는 전기적 자극을 통해 신경세포 활동과 조직 재생을 촉진했다. 그러나 모양과 크기를 실시간으로 변경하기 어려웠고, 신체 조직과 이물 반응을 유발하기도 해 제거 수술을 해야 하는 등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기능성 나노 재료를 실시간으로 다양한 형태로 바꿀 수 있는 '종이형 무선 전기자극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선 외부 자기장에 반응해 전기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자기전기 나노입자를 합성했다. 나노 입자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뤄진 코어(알맹이)와 셸(껍데기)이 맞붙은 모습으로, 합성된 '코어@셸' 형태다. 외부 자기장에 반응해 변형을 일으키는 자왜 코어와 변형을 전기 자극으로 변환하는 압전 셸로 이뤄진다. 이 특성을 활용해 배터리 없이 무선으로 신체 내부에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다. 연구팀은 나노입자를 쉽게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