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 막으려면…"병원에 페널티보다 지원이 먼저"

서울대병원 외상외과 박찬용 교수 인터뷰…"수술거부 아닌 불가"
"응급이송 컨트롤타워 필요…'인력·시설·장비' 삼박자 맞춰야"

 "전공의 등 보조 인력도 없고, 수술할 사람이라곤 저뿐이었죠. 회의하고 있는 혈관외과 교수님을 재촉해 단둘이서 수술을 했어요. 달리 갈 병원이 없었기 때문이죠."

 31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만난 외상외과 박찬용 교수는 지난 9일 있었던 소아 환자 수술에 대해 '막막한 순간'이었다고 말했다. 환자는 자전거를 타다 화단에 넘어져 굵은 나뭇가지가 목을 관통한 상태였다. 다행히 큰 동맥과 정맥을 비껴갔지만,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는 치료가 불가했다. 

 어린이 환자를 수술할 의사가 없었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으로 왔지만 수술할 인력이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박 교수는 다음날 새벽에나 수술이 가능하단 말에 털썩 주저앉아 흐느끼는 부모를 보며 '단둘이라도 해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골든타임'을 지킨 소아 환자는 무사히 회복해 퇴원했다.

 ◇ '수술거부' 아니고 '수술불가'…"페널티보다는 현실적 지원이 필요"

 "10여 곳의 병원에서 '수용거부'했다는 표현이 맞을까요. 저는 '수용불가'였다고 봅니다." 박 교수는 지난 30일 일어난 용인 '뺑뺑이' 사고에서 환자를 받지 못한 병원에 권역외상센터마저 포함돼 있었다는 사실에 센터를 지정만 해서 될 것이 아니라 '인력·시설·장비' 삼박자가 맞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금도 '워라밸(일과 삶 균형)'이나 높은 보수를 찾아 응급센터를 빠져나가는 인력이 많은데, 행정처분 등의 위험부담을 지게 된다면 의사들은 더욱 응급의료를 기피할 것이란 얘기다.

 "권역외상센터에서도 수술을 할 의사나 수술실, 병상이 부족해 우리 병원으로 전원된 적이 있었습니다. 병원이 거부하는 게 아니라 정말로 응급수술을 못 하는 상황인 거죠."

 그러면서 계속해서 개소가 늦어지고 있는 서울권역외상센터 역시 기존 계획보다 크게 규모를 늘리지 않으면 뺑뺑이가 반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 인구수와 교통체증 등을 감안했을 때 센터 수 자체를 늘리는 것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봅니다."

 ◇ 구급차 떠돌며 전화 거는 현실…"권역외상 컨트롤타워서 연계해야"

 구급대원들이 하염없이 떠돌며 병원에 일일이 전화를 걸어야 하는 현실도 문제다. 박 교수는 이에 대해 '지역외상 거버넌스'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역별로 관내 외상센터와 수술실, 병상 현황을 파악해 신속하게 이송·전원과 치료를 연계하고 제도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종의 '응급이송 컨트롤타워'로, 소방·의료기관·지자체가 협력해 응급환자를 배분하고 '모두 불가'인 상황이 없도록 규정에 따라 배정할 권한까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물론 이같은 체계를 위해선 시설·의료인력 보충과 보상은 물론, 상황에 따라 지역의회까지 거버넌스에 참여해 조례를 만드는 등도 필요하다.

 박 교수는 "장기적으론 그런 컨트롤타워에서 병원 연계뿐 아니라 데이터를 수집해서 응급의료 서비스 질 관리까지 갈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당장 응급환자 발생 시 소방청과 의료기관에서 따로 집계하는 데이터 등을 통합하는 것만 해도 중요한데 질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나 주체조차 확실치 않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3월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지역 중심 응급의료 정책기반을 강화한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내용 없이 지방정부에 시행계획을 수립하라는 방침이다. 응급의료 데이터 또한 연계한다는 계획만 나왔을 뿐 법적 근거조차 모호한 상황이다.

 박 교수는 "당사자들이 모여도 구체적인 원칙과 제도가 뒤따르지 않으면 탁상공론하는 자리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분야 더 많이 받도록 건강보험 지불제도 개선"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보상을 늘리기 위해 건강보험 지불제도를 개선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의료행위를 많이 할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는 기존의 '행위별 수가제'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필수의료 분야의 '상대가치 점수'를 인상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과 성과에 따라 의료기관별로 차등 보상하는 대안적 지불제도를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이중규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3일 기자들과 만나 "행위별 수가제도가 필수의료 분야에 대한 원가 보상률이 부족한 측면이 있었다"며 "상대가치 수가 집중 인상과 보완형 공공정책 수가, 대안적 지불제도 도입 확대 등을 통해 보상 체계를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가'는 건강보험에서 의료기관 등에 의료서비스의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이다. 우리나라 수가제도는 진찰, 검사, 처치 등 의료행위별로 수가를 매겨 대가를 지급하는 '행위별 수가제'를 근간으로 한다. 행위별 수가는 의료행위의 가치를 업무량과 인력, 위험도 등을 고려해 매기는 '상대가치점수'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병원, 의원, 약국 등 기관별로 매년 협상을 통해 결정하는 '환산지수'를 곱하 고, 각종 가산율을 반영해 책정된다. 이 제도는 의료행위를 많이 할수록 수익이 늘어나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모유 통해 흡수한 초미세플라스틱이 비만 초래할 수 있다
크기가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이하로 매우 작아 관찰·검출이 거의 불가능한 초미세플라스틱이 자녀의 비만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이다용 박사 연구팀은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이돼 자손의 비정상적 체중 증가를 일으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쥐 모델을 통해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체의 모유 성분에 변화를 유발하고, 이를 섭취한 자손은 지질 대사체 이상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변화가 일어나 비정상적 과체중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폴리스타이렌(PS)과 폴리프로필렌(PP) 초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모체의 자손이 성장호르몬 분비량이나 섭취량 증가가 없음에도 몸무게와 체지방이 두드러지게 증가함을 관찰했다. 모체의 모유를 분석한 결과, 비만도와 관련이 높은 지질 성분인 LPC(리소포스파티딜콜린)는 증가하고 PC(포스파티딜콜린)는 감소해 있었고, 모유를 섭취한 자손의 혈액에서도 이와 유사한 변화를 확인했다. 관련 효소 활성 조절을 통해 초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지질 성분 변화를 억제하자 자손의 몸무게 증가가 정상적으로 회복됐다. 초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자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