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드름 치료제 '이소트레티노인', 자살 위험 관련없어"

 여드름 치료제 이소트레티노인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자살 위험을 높이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소트레티노인은 비타민A 유도체로 다른 방법으로 잘 치료되지 않는 여드름 치료에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아큐테인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하다.

 싱가포르 국립대학 의대 연구팀(공동 저자: 니콜 키에웬탄)이 총 162만5천891명(16~38세)이 대상이 된 25편의 관련 연구 논문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6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이소트레티노인 사용자가 1년 내 자살, 자살 기도, 자살 생각, 자해 중 어느 하나를 하게 될 절대적인 위험은 모두 0.5% 미만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자살 기도 위험은 오히려 이소트레티노인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낮았다.

 이소트레티노인 사용자의 자살 기도 위험은 치료 시작 2년, 3년, 4년 후 모두 미사용자보다 각각 8%, 14%, 15% 낮았다.

 그러나 이소트레티노인은 정신 장애를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 만큼 임상의는 이소트레티노인 사용자가 정신 불안 징후를 보이는지 살펴보면서 폭넓은 피부 심리 치료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 저널 피부의학(JAMA Dermat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파킨슨병, 타우 단백질 응집에서 시작된다"
파킨슨병은 뇌 신경세포의 타우 단백질이 응집되면서 시작된다는 새로운 이론이 제기됐다. 미국 애리조나 주립 대학 신경 퇴행 질환 연구센터의 제프리 코도어 박사 연구팀은 본격적인 증상이 나타나기 전의 초기 단계에서 파킨슨병의 시동을 거는 것은 뇌 신경세포 안에 있는 타우 단백질 응집이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도했다. 파킨슨병은 운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 도파민 생산 세포가 소실되면서 근육 경직, 몸 떨림, 느린 동작 같은 운동 장애가 나타나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 신경 신호 전달을 돕는 단백질 알파-시누클레인이 도파민을 만드는 신경세포에 쌓여 파킨슨병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새로운 이론은 알파-시누클레인을 파킨슨병의 주범으로 지목한 전통적인 파킨슨병 병리 이론과는 어긋나는 것이다. 연구팀은 루이 소체 병리가 있거나 없으면서 가벼운 운동 장애가 있는 노인, 임상적으로 파킨슨병으로 진단된 노인, 운동 장애가 없는 노인들의 사망 후 뇌 조직을 검시 과정에서 채취해 비교 분석했다. 루이 소체는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환자의 신경세포 안에서 형성되는 비정상 단백질 집합체로 파킨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