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확진 몇 명' 이제 끝…양성자 표본감시로 전환

전국 527개 의료기관서 주 1회 집계…연령·지역별 발생경향 파악

  코로나19 국내 상륙 이후 3년 반 가까이 이어진 확진자 집계가 31일 중단되면서 이를 대신할 양성자 감시체계가 가동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31일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조정됨에 따라 효과적인 감시와 표본감시체계로의 안착을 위해 양성자 중심 감시체계를 한시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2급 감염병은 발생 사실을 24시간 이내 신고하는 전수감시 대상이지만, 4급 감염병은 지정된 표본감시기관을 위주로 감시한다. 가령 4급인 인플루엔자(독감)의 경우 발생 환자가 정확히 집계되지 않고, 전국 196개 동네의원의 외래환자, 220곳의 병원급 의료기관 입원환자 표본감시 등을 통해 유행 추이를 알 수 있다.

 코로나19도 독감과 같은 4급이 되면서 표본감시 대상이 됐지만, 방역당국은 전수감시와 표본감시의 중간단계 격인 양성자 감시체계를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치료제 처방이 가능한 전국 의료기관 중 지정된 527곳에서 양성자 감시에 참여해 주 1회 확진자를 신고·집계하는데, 독감 등 기존 호흡기 감염병 표본감시체계에서 산출하지 않는 연령·지역별 발생 경향 등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또 527곳 중 105곳은 병원체 감시에도 참여해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의 유행 양상도 살펴본다.

코로나19 전수감시와 양성자감시 확진자 추이

 기존 호흡기 감염병 표본감시체계에서도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시가 진행된다. 국내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220곳에서 코로나19 입원환자와 사망자 수를 산출하게 된다.

 방대본은 양성자 감시와 표본감시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축적·분석해 주간소식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생활하수에서 바이러스양을 확인해 유행 추이를 살펴보는 하수기반 감시도 병행한다.

 지영미 방대본부장(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의 지속적 유행과 신규 변이 유입 등의 위험에 대비해 다층적 감시체계를 통해 유행 양상과 변화를 조기에 파악하고 감염병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종담배 유해성 실험실서 찾아낸다…"니코틴 들어있으면 모두 담배"
충북 청주시 오송의 질병관리청에 설치된 흡연폐해실험실. 8일 취재진에 공개된 이 실험실에서 연구진들은 첨단기기로 시판 중인 전자담배의 액상을 분석하는데 분주했다. 연구진이 이런 분석에 열중하고 있는 것은 전자담배의 액상에 다양한 물질들이 유해성 검증 없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어떤 성분이 들어있는지는 액상 제품의 가짓수만큼이나 다양하다. 성분을 파악하고 어떤 위해성이 있는지 찾아내는 일은 담배 규제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첫 단계이다. 지난 2015년 만들어진 이 실험실은 궐련형 일반담배는 물론 액상형 전자담배나 궐련형 전자담배 등 신종담배의 유해성을 실험을 통해 찾는 역할을 한다. 연구 데이터는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되며, 규제 정책을 모색하는 데 활용된다. 실험실은 담배 속 위해성을 찾는 담배성분 분석실, 어떤 중금속 성분을 갖고 있는지 찾아내는 중금속 분석실, 흡연형태나 습성에 따라 세포 단위에서 어떤 유해성이 있고 질병발생 위험도는 얼마나 큰지를 알아내도록 세포실험을 하는 공간을 갖췄다. 민선녀 질병청 건강위해대응과장은 "담배에 대해 규제를 하려면 노출됐을 때 사람에게 어떤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인 근거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데, 흡연폐해실험실

메디칼산업

더보기
"종이처럼 접고 자르는 맞춤형 전기자극 물질 개발"
종이처럼 쉽게 접고 자를 수 있는 맞춤형 전기 자극 물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9일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김지윤, 차채녕, 송명훈 교수팀은 무선 전기 자극 기능을 가진 유연하고 생분해 가능한 '종이형 전기 자극 물질'을 세계 최초로 만들었다. 기존 삽입형 전기 자극 기기는 전기적 자극을 통해 신경세포 활동과 조직 재생을 촉진했다. 그러나 모양과 크기를 실시간으로 변경하기 어려웠고, 신체 조직과 이물 반응을 유발하기도 해 제거 수술을 해야 하는 등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기능성 나노 재료를 실시간으로 다양한 형태로 바꿀 수 있는 '종이형 무선 전기자극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선 외부 자기장에 반응해 전기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자기전기 나노입자를 합성했다. 나노 입자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뤄진 코어(알맹이)와 셸(껍데기)이 맞붙은 모습으로, 합성된 '코어@셸' 형태다. 외부 자기장에 반응해 변형을 일으키는 자왜 코어와 변형을 전기 자극으로 변환하는 압전 셸로 이뤄진다. 이 특성을 활용해 배터리 없이 무선으로 신체 내부에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다. 연구팀은 나노입자를 쉽게 분해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