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비비고 죽 광고 온에어… 죽 시장 지배력 확대 주력

모델 박서준 기용해 ‘드디어 죽 맛을 살리다’ 카피 내세운 비비고 죽 TV광고·디지털 광고 론칭
비비고 죽 광고 론칭 계기로 상품죽과 외식죽 시장 전체 공략 강화… 죽 시장 본격 경쟁 돌입

(미디어온) CJ제일제당이 죽 시장 판도에 변화의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비비고 죽의 브랜드 광고를 선보였다고 지난 8일 밝혔다.

비비고 죽 광고 온에어를 계기로 본격적인 죽 시장 경쟁이 시작됐다는 해석과 함께 비비고 죽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비비고 죽은 지난해 11월 출시 이후 브랜드 파워와 차별화된 R&D 기반 맛 품질을 앞세워 죽 시장 전체 판도를 바꿔나가는 주인공으로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죽 시장은 상품죽 업체와 외식 전문점 등 기존의 핵심 죽 업체들이 광고비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경쟁 체제에 돌입 돼 있는 상황이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죽의 경쟁 상대를 단순히 상품죽뿐 아니라 외식 전문점까지 아우르는 5000억원대 시장으로 보고 있는 만큼, 광고 온에어를 계기로 죽 전체 시장에서의 지배력 확대를 위해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비비고 죽 광고는 ‘드디어 죽 맛을 살리다’를 메인 카피로, 공중파 TV 방송용 1편과 유튜브 등 온라인 채널용 1편 두 가지로 제작됐다. 광고에서는 죽이라는 음식에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본질인 ‘죽의 맛’을 강조하며, 기존 죽과는 차원이 다른 비비고 죽만의 차별화된 맛 품질을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공중파 방송용 광고에서는 배우 박서준을 모델로 기용해 살아있는 밥알의 씹는 맛을 살리고 정성 들여 끓여 낸 육수와 풍성한 재료로 깊은 맛은 끌어올린 죽이라는 점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온라인 채널용 광고에서는 어린이 모델도 참여해 어린 아이부터 청소년,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일상 속 여러 상황과 필요에 따라 즐길 수 있는 제품이라는 점도 함께 강조했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죽 광고를 통해 쌀알의 살아있는 식감, 깊은 맛의 육수, 풍성한 원물 등 햇반과 비비고 국물요리 제조 노하우를 접목해 차원이 다른 비비고 죽의 속성을 강조하고자 했다며 비비고 죽이 차세대 가정간편식의 대표 품목으로 공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비비고 죽 광고 온에어와 더불어 온라인 쇼핑몰 11번가와 협업 마케팅도 진행한다. 4월 11일 십일절 기획 콜라보레이션 제품인 ‘스타일죽’을 론칭한다. 2030세대 공략을 위해 기획된 제품으로, 비비고 죽 제품 4개와 죽 보자기에서 모티브를 딴 스카프 1장으로 구성했다. 재치와 익살을 가미한 ‘스타일 죽이네’라는 카피를 내걸고, 총 3000세트 한정판으로 소비자가 1만6900원에 판매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신약 개발, 디지털 전환으로 데이터 고립 해결해야"
글로벌 R&D 플랫폼 공급사인 닷매틱스의 이호상 아태지역·한국 대표는 20일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부서 간 데이터 고립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구로구 산업교육연구소에서 열린 '2024년 의료 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기술과 미래 전망 세미나'에서 "우리는 데이터를 드러내는 것에 두려움이 있는 것 같다"며 "새로운 연구를 할 때 전임 연구자가 누구였는지조차 파악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데이터 양, 속도, 다양성이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을 통해 '데이터 사일로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데이터 사일로 현상은 기업 간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아 데이터가 고립되는 것으로, AI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제약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워크플로우(작업 체계)를 구축하고, 후보물질 관리, 디지털 연구 기록, 데이터 분석·스크리닝 실험 등에서 디지털 전환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AI 신약 개발 연구를 후보 물질을 빠르게 찾는 것으로만 접근하는데, AI의 잠재성을 편향되게 접근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