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은 '비타민 D 결핍', 여성은 '운동 부족'시 면역력 저하"

차움 오수연 교수, 나이·성별에 따른 NK세포 활성도 분석

 남성은 체내 비타민D 결핍으로, 여성은 운동 부족 시 면역력이 저하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차움 면역증강클리닉 오수연 교수와 임상유전체센터 최상운 교수 연구팀은 2016∼2018년 차움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천95명을 대상으로 'NK세포 활성도'를 면역력 지표로 활용,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27일 밝혔다.

 NK세포는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라는 면역세포로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거나 암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앞선 연구에서 NK세포의 기능 저하가 암이나 감염병 위험을 높인다고 밝혀지면서 NK세포 활성도 검사는 면역력의 기능적 상태를 알아보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성은 나이가 들수록 NK세포 활성도가 떨어졌다. 이런 현상은 남성에서만 관찰됐는데, 18∼40세 남성보다 50세 이상에서 나이가 들수록 NK세포 활성도가 가파르게 감소했다.

 비타민D가 결핍되거나 운동이 부족한 때도 NK세포의 활성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비타민D 결핍은 남성에서, 운동 부족은 여성 및 고령층에서 영향이 컸다.

 남성은 비타민D 결핍 시 NK세포 활성도가 낮을 위험이 2.8배, 여성은 운동하지 않을 때 1.9배 각각 증가했다.

 60대 이상의 고령층은 남녀 모두 운동 부족이 면역력 저하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령대는 운동 부족 시 NK세포의 활성도가 낮을 위험도가 5.6배에 달했다.

 연구팀은 나이와 성별에 따른 NK세포 활성도의 차이, 비타민D와 운동이 면역력에 영향을 미치는 NK세포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남성은 비타민D의 결핍이 NK세포의 감소로 이어지는 만큼, 면역력 향상을 위해 평소 영양상태를 잘 유지해야 한다"며 "여성과 고령층은 운동이 면역력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주 2∼4회, 1∼2시간 정도의 운동을 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면역학회지'(Frontiers in Immun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