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수출↑ 수입↓…12년 만에 무역흑자 기록할 듯

 올해 김치 수출이 늘고 수입은 줄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무역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12일 관세청과 식품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김치 수출액은 1억1천146만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13.8% 늘었다.

 반면 김치 수입액은 8천610만달러로 9.7% 줄었다.

 이로써 2천536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보이고 있다.

 현 추세대로라면 연간 무역수지도 2009년(2천305만 달러)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흑자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2009년에는 김치 수입이 대폭 줄어 흑자를 냈지만, 이번에는 김치 수출이 늘어난 것이 주요 요인이다.

 2009년 당시에는 김치 수입액은 6천634만 달러로 전년보다 41.1% 급감했고 수출액은 4.8% 늘어나는 데 그쳤다.

 김치 수출은 지난해부터 많이 증가했는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외국에서 김치가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커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또 한류 열풍으로 해외에서 한국 음식인 소위 'K-푸드'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종가집' 김치를 수출하는 대상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김치 효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한류 영향도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1∼8월 김치 수출액을 국가별로 보면 일본이 5천719만달러로 51.3%를 차지해 절반이 넘었고 이어 미국(1천893만달러), 홍콩(538만달러), 대만(454만달러), 영국(403만달러), 네덜란드(376만달러), 호주(331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반면 김치 수입은 올해 크게 줄었는데 지난 3월 중국에서 절임 배추를 비위생적으로 다루는 동영상이 보도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김치 수입액은 동영상 보도 직후인 올해 4월에는 991만달러로 2019년 6월(906만달러)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1천만달러 선을 밑돌았다. 7월에는 823만달러까지 떨어졌다.

 국내에서 수입하는 김치는 대부분 중국에서 들여오는 것이다.

[표] 연도별 김치 수출입 추이 (단위: 천달러)

 

연도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2008 85,295 112,715 -27,420
2009 89,386 66,335 23,051
2010 98,360 102,019 -3,659
2011 104,577 120,874 -16,297
2012 106,608 110,842 -4,234
2013 89,277 117,431 -28,154
2014 84,033 104,396 -20,363
2015 73,543 113,237 -39,694
2016 78,900 121,485 -42,585
2017 81,393 128,679 -47,286
2018 97,456 138,215 -40,759
2019 104,992 130,911 -25,919
2020 144,511 152,426 -7,915
2021(1~8월 기준) 111,459 86,098 25,361
2020(1~8월 기준) 97,932 95,303 2,62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신약 개발, 디지털 전환으로 데이터 고립 해결해야"
글로벌 R&D 플랫폼 공급사인 닷매틱스의 이호상 아태지역·한국 대표는 20일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부서 간 데이터 고립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구로구 산업교육연구소에서 열린 '2024년 의료 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기술과 미래 전망 세미나'에서 "우리는 데이터를 드러내는 것에 두려움이 있는 것 같다"며 "새로운 연구를 할 때 전임 연구자가 누구였는지조차 파악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데이터 양, 속도, 다양성이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을 통해 '데이터 사일로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데이터 사일로 현상은 기업 간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아 데이터가 고립되는 것으로, AI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제약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워크플로우(작업 체계)를 구축하고, 후보물질 관리, 디지털 연구 기록, 데이터 분석·스크리닝 실험 등에서 디지털 전환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AI 신약 개발 연구를 후보 물질을 빠르게 찾는 것으로만 접근하는데, AI의 잠재성을 편향되게 접근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