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코로나 먹는치료제 중증화 46%, 사망 33% 예방 효과"

국내 확진자 193만6천여명 분석…"60세 이상서 효과 더 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먹는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중증화와 사망 예방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복용자와 미복용자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입증했다고 19일 밝혔다.

 질병청은 2022년 7월부터 11월까지 12세 이상 코로나19 확진자 193만6천955명(미투약군 151만5천959명·투약군 42만996명)을 중증화 및 사망 예방효과를 분석했다. 미국 화이자사가 제조한 팍 스로비드는 2022년 1월 14일 국내에서 투약이 시작됐다.

 분석 결과 팍스로비드 복용군은 미복용군보다 중증화 예방 효과가 43%, 사망 예방 효과가 33%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증 위험도가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만 놓고 보면 중증화 예방효과가 46%로 더 높았다

팍스로비드 효과 분석

 백신을 한번도 접종하지 않은 코로나19 확진자 중 팍스로비드 복용군은 미복용군 대비 증증화 61%, 사망 54%의 예방효과가 더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청은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먹는치료제 효과를 분석한 연구 중 대규모 실제임상자료(Real-World data)를 활용한 첫 연구"라며 "코로나19 치료제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학술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먹는치료제 필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마련된 만큼, 요양병원·시설과 고령층 등 고위험군은 확진 초기 먹는치료제 처방을 적극적으로 할 것을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AI 신약 개발, 디지털 전환으로 데이터 고립 해결해야"
글로벌 R&D 플랫폼 공급사인 닷매틱스의 이호상 아태지역·한국 대표는 20일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부서 간 데이터 고립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구로구 산업교육연구소에서 열린 '2024년 의료 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기술과 미래 전망 세미나'에서 "우리는 데이터를 드러내는 것에 두려움이 있는 것 같다"며 "새로운 연구를 할 때 전임 연구자가 누구였는지조차 파악하기 힘든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데이터 양, 속도, 다양성이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을 통해 '데이터 사일로 현상'을 극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데이터 사일로 현상은 기업 간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아 데이터가 고립되는 것으로, AI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제약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워크플로우(작업 체계)를 구축하고, 후보물질 관리, 디지털 연구 기록, 데이터 분석·스크리닝 실험 등에서 디지털 전환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AI 신약 개발 연구를 후보 물질을 빠르게 찾는 것으로만 접근하는데, AI의 잠재성을 편향되게 접근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