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로 골든타임 내 치료"

2차 종합계획…"전문의들 소통해 환자 이송 병원 결정"
'응급환자 적정시간 병원 도착' 10%p 상승 목표

 급성심근경색이나 뇌출혈, 뇌경색 등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자가 골든타임 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보건복지부는 내년 1월부터 심뇌혈관질환 응급환자가 적시에 필요한 진료와 수술 등을 받을 수 있도록 권역별 전문의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23∼2027)의 일환이다. 정부는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인 심장질환과 4위 뇌혈관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지난 1차 종합계획(2018∼2022)은 예방관리 대책 위주로 마련돼 중증·응급 진료체계 지원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심뇌혈관질환,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로 골든타임 내 치료"(종합) - 2

 심근경색 응급환자가 골든타임 내 응급의료기관에 도착할 확률은 작년 기준 48%, 뇌졸중은 52%에 불과하다.

 정부는 권역 내 전문의들이 직접 소통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신속하게 정할 수 있도록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027년까지 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내 병원에 도착할 확률을 심근경색 58%, 뇌졸중 62% 등 10%포인트씩 올리겠다고 밝혔다.

 김한숙 복지부 질병정책과장은 "지역 의료 인프라에 따라 이송 시간이 다를 수 있겠지만, 국제적 골든타임 기준인 증상 발생 후 60분 안에 병원에 도착하는 비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뇌혈관질환,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로 골든타임 내 치료"(종합) - 3

 네트워크는 골든타임 내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거리에 있는 서로 다른 병원 소속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등 최소 7인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송수신비, 환자 이송 경로설정 수당 등의 비용은 정부가 사전에 100% 보상하고, 운영 성과에 따라 사전 보상비의 최대 40%까지 추가로 지급한다.

 네트워크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거나 운영 비용이 다른 용도로 쓰일 경우 해당 네트워크는 사업 대상에서 탈락한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지금도 심뇌혈관질환 전문의들이 사적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 발생에 대응하고 있는데, 이를 공식적인 제도와 정책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산하기관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이 네트워크 사업을 관리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현재 14곳에 지정 운영 중인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2027년까지 약 24곳으로 확대해 전국 모든 진료권에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도 밝혔다.

 환자와 가족이 응급증상을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포털 사이트와 유튜브 등을 통해 국민이 심뇌혈관질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도 강화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심뇌혈관질환은 필수의료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분야로, 종합계획 성과가 또 다른 필수의료 분야의 문제 해결에 대안이 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