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가구별 쓰레기 다이어트'…40.8% 감량 효과

 '쓰레기 다이어트'는 서울시가 쓰레기 배출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가구별로 자발적으로 쓰레기 감량 계획을 세워 저울 등으로 배출량을 측정 및 기록하고 생활쓰레기 배출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도전하는 시민실천 프로그램이죠.

 시는 참여 가구에 저울·분리 배출함·활동 노트 등을 지원하고 전문가 자문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서울시는 작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164가구의 쓰레기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11월 기준 참여 가구의 1인당 평균 종량제 생활쓰레기(재활용품 제외) 배출량은 9월 대비 40.8%(5.81㎏→3.44㎏)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참여가구는 1인가구 38가구, 2인가구 18가구, 3인가구 36가구, 4인가구 72가구였습니다.

 특히 가구 구성원 수가 적을수록 감량 규모가 컸는데, 1인 가구의 경우 4인 가구보다 두 배 이상 쓰레기를 줄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참여 가구의 1인당 재활용품 분리 배출량도 31.4% 급감했습니다. 재활용 품목 중에는 종이 배출량이 가장 많이 줄었고, 이어 플라스틱·비닐·스티로폼 순이었습니다.

 생활쓰레기와 재활용품 배출 감소율을 비교해보면 1인 가구는 생활쓰레기 감소율(48.8%)이 재활용품(24.9%)보다 2배가량 높았습니다.

 다인 가구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는 1인 가구가 기존에 종량제 봉투에 버리던 쓰레기를 재활용품으로 분리해 배출했기 때문으로 시는 분석했습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참여 가구들이 전반적으로 쓰레기 배출량은 줄이는 데 성공했지만, 일회용품은 배출량을 줄이기 어려웠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습니다.

 시는 1인 가구의 쓰레기 감량 효과가 크다는 점을 확인한 만큼 관련 교육과 캠페인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