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실상의 엔데믹 선언…긴장 놓아선 안돼

 코로나19 위기 경보 수준이 내달 1일을 기점으로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되고 확진자에 대한 격리 의무가 해제된다. 정부는 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방역 완화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방역 규제가 대부분 풀린다는 점에서 정부가 이날 발표한 방역 완화 조치는 사실상의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선언으로 받아들여진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현재 확진자 7일 격리 의무가 5일 권고로 전환된다.

 대형병원 등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 취약 시설을 제외하고 의원과 약국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전면 권고로 바뀐다. 국내 입국자가 입국 후 3일 차에 받도록 권고하는 PCR 검사는 종료된다. 이번 방역 완화 조치에 따라 대다수 국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규제는 거의 사라지는 셈이다.

 국내에서 코로나19 환자가 처음 발생한 건 2020년 1월 20일이다. 첫 환자 발생 이후 3년 4개월가량 지난 시점에 있다. 돌이켜보면 그간 고강도의 확진자 격리 조치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규제들은 일상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강화와 완화가 반복됐는데 2021년 수도권에서부터 위기 최고 단계에 이르기도 했다.

 당시엔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의 모임이나 1인 시위 이외의 집회와 행사가 금지됐고 결혼식과 장례식엔 친족만 참석할 수 있었다. 이번에 해제된 확진자 격리 의무는 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당시부터 취해져 왔다.

 코로나19 사태는 '길고 어두운 터널'에 비유된다. 이번 방역 완화 조치를 계기로 조만간 긴 터널의 끝을 지나게 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방역 규제가 대부분 풀린다고 해서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는 것으로 간주하긴 이르다. 최근 들어 1주일에 10만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의 방역 완화 발표가 나온 11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2만574명 늘었다.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9일 이후 사흘째 2만명대다. 지난 10일까지 최근 한 달간 코로나19 사망자는 239명으로 집계됐다. 긴장의 끈을 쉽게 놓아선 안 될 일이다.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의 집단 발병이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남아 있는 데다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하다.

 의료 대응 체계를 재점검하고 고위험군과 취약 시설에 대한 보호 장치를 마련하는 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나 신종 감염병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차기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에도 면밀히 대비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피부 재생 돕고 손상된 촉각 정보 전달하는 인공피부 개발
국내 연구진이 화상이나 사고, 피부질환 등으로 신경조직까지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돕고 촉각 정보를 감지해 신경에 전달할 수 있는 인공피부를 개발, 생쥐모델 실험에서 효과가 확인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정영미 박사, 스핀융합연구단 이현정 박사 연구팀이 연세대 유기준 교수, 성균관대 김태일 교수와 공동으로 인체 이식형 촉각 기능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신경조직 손상을 동반한 심각한 피부 결손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은 물론 생명 유지 활동에 필수적인 감각인지 기능 상실을 유발하는데, 손상 부위에 인공피부를 이식하는 수술적 치료는 가능하지만, 현재 개발된 인공피부는 피부조직과 유사한 구조와 환경을 제공해 피부재생을 도울 수는 있어도 감각을 회복시키지는 못한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는 피부재생을 돕는 생체적합성이 높은 소재와 전자소자로 구현된 촉각 전달 시스템이 융합돼 영구적으로 손상된 촉각까지도 복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피부의 주요 성분인 콜라겐과 피브린(fibrin)으로 구성된 하이드로겔로 만든 인공피부에 유연 압력 센서를 삽입, 인공피부에 가해지는 미세한 압력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화합물 8억종 DB화…"AI 신약 개발 시스템 구축"
대웅제약은 8억 종의 분자 모델 데이터베이스와 인공지능(AI) 표적 물질 발굴 시스템이 결합한 신약 개발 시스템 '데이지'를 구축했다고 19일 밝혔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데이지는 화합 물질을 발굴하고 약물성을 빠르게 예측할 수 있는 AI 신약 개발 포털이다. 데이지에는 신약 개발에 필요한 화합 물질 데이터베이스 '다비드'와 신약후보 물질 탐색 도구 'AIVS'가 적용됐다. 현재 세계적으로 공개된 화합 물질 오픈소스 데이터는 불필요한 정보를 분리·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한데, 다비드는 해당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AI가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 총 8억 종을 결합한 데이터베이스라고 대웅제약은 설명했다. 다비드는 다윗이 골리앗을 쓰러트렸다는 성서의 이야기처럼, 신약 개발 경쟁에서 AI로 세계적 제약사들과 겨루겠다는 뜻이다. AIVS는 3D 모델링에 기반해 AI가 표적 단백질을 대상으로 활성 물질을 발굴하는 시스템이다. 대웅제약은 AI 신약 개발 시스템을 활용해 두 가지 표적 단백질에 작용하는 활성물질을 발굴하고, 최적화 단계에 적용함으로써 개발 기간을 대폭 단축했다고 전했다. 대웅제약은 향후 AI 신약 개발 시스템을 전임상·임상·시판 등 신약 개발 전 주기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