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A 유전자가위 정밀 제어 기술 개발

KAIST 허원도 교수팀 "돌연변이 표적 RNA 기반 치료법 발전 기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RNA 유전자 가위 기술(CRISPR/Cas13) 활성을 화학 유전학 및 광유전학으로 조절해 시공간적으로 표적 RNA 염기를 편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동식물의 유전자에서 손상된 DNA를 잘라내고 정상 DNA로 바꿔 질병을 억제하는 도구다.

 연구팀은 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 구조를 재구조화해, 화학적·광유전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Cas13 단백질 조각을 예측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개발한 에디터 기술로 RNA 분해 및 RNA 염기 편집을 실시간 유도하고, RNA 염기 편집 활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질병과 관련된 DNA 편집의 잠재적 위험인 돌연변이를 표적으로 하는 RNA 기반 치료법 발전과 세포 내 RNA 기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허원도 교수는 "재결합이 가능한 분할 단백질 Cas13 조각을 개발해, 화학적·광유전학적으로 특정 시공간에서 정밀하게 조절되는 RNA를 실험적으로 확인했다"며 "이 기술은 그동안 실험적 한 계로 어려웠던 복잡한 RNA 연구를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지난달 22일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로봇·게임으로 인지 훈련…늘어나는 비약물 알츠하이머 치료법
인공지능(AI)·로봇·저선량 방사선 시스템 등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료를 돕는 비약물 요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헬스케어 업계에 따르면 치매 전용 디지털 엑스선 시스템 개발 기업 레디큐어는 뇌 질환 영상 AI 설루션 기업 뉴로핏과 초기 치매나 경도 인지 장애 환자를 위해 디지털 엑스선 치료 시기를 결정하고, 치료 예후를 판단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협약을 최근 체결했다. 두 기업은 레디큐어가 시제품을 개발 중인 치매 의료기기 '헬락슨'에 해당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계획이다. 알츠하이머는 노인성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이다. 기존 약물 치료는 알츠하이머의 원인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다만 인지 기능을 근본적으로 복구하지는 못하며, 약물 부작용 우려도 있다. 비약물 알츠하이머 치료는 인지 훈련·재활, 운동, 음악 치료, 회상 요법 등을 통해 인지 기능 악화를 늦추는 치료 방법이다. 국내 헬스케어 스타트업들은 디지털 헬스케어 특화 단지인 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에서 비약물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개선하는 제품 연구·사업화에 주력하고 있어 주목된다. 서비스 로봇 전문 기업 로아이젠은 경증 알츠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