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조기진단·사망 예방 최선은…"40세부터 매년 검진해야"

美 연구팀 "매년 검진하면 격년 검진보다 유방암 사망률 대폭 감소"

 유방암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40세부터 최소 79세까지 매년 유방암 검진을 하는 것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햄프셔주 하노버의 다트머스 가이젤의대 데브라 몬티치올로 교수팀은 북미영상의학회(RSNA) 저널 래디올로지(Radiology)에서 미국에서 사용되는 4가지 유방암 검진 권고안에 대한 비교 연구에서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유방암은 미국 여성에게 두 번째로 흔한 암 사망 원인이다. 유방암 검진으로 사망률을 4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검진 대상 여성의 50% 이하만이 매년 검진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몬티치올로 교수는 "2009년 미국 질병예방 특별위원회(USPSTF)가 50세부터 격년으로 검진받도록 권고한 후 검진 참여가 줄었다"며 "유방암 검진 권장사항, 특히 검진을 언제 시작해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USPSTF는 지난해 40~74세 사이에 격년으로 검진받도록 하는 새로운 권고안을 내놨다. 이에 반해 미국영상의학회(ACR), 유방영상학회(SBI),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는 유방암 평균 위험군에 속하는 여성에게 40세부터 매년 검진을 받을 것을 권장한다.

 연구팀은 '암 중재-감시 모델링 네트워크'(CISNET) 통계모델을 이용해 ▲ 50~74세 격년 검진 ▲ 40~74세 격년 검진 ▲ 40~74세 매년 검진 ▲ 40~79세 매년 검진 등 4가지 검진 권고안의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40세부터 79세까지 디지털 유방 촬영술 또는 단층 영상합성법으로 매년 검진할 경우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의 감소 폭이 41.7%로 4가지 권고안 중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50~74세 격년 검진과 40~74세 격년 검진은 각각 사망률이 25.4%와 30%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40~79세 매년 검진'은 유방 촬영술에서 유방암이 아닌 경우를 암으로 판정하는 위양성 비율이 6.5%, 악성이 아닌데 조직검사를 한 비율 0.9%로 '50~74세 격년 검진'과 '40~74세 매년 검진'의 위양성 비율(6.5~8.5%)과 악성이 아닌 경우 조직검사를 한 비율(0.9~1.3%)보다 낮았다.

 몬티치올로 교수는 "이 연구의 가장 큰 시사점은 40세부터 시작해 최소 79세까지 매년 검진을 받으면 유방암을 예방하고 사망률을 가장 많이 줄일 수 있다는 것"이라며 "79세 이후에도 계속 검진받으면 이점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1차 진료 의사들이 검진 위험은 관리가 가능하고 그 혜택은 엄청나다는 것을 인식하기를 바란다"며 "유방암 조기 진단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 40세부터 매년 검진을 받는 것이라는 내용이 관련 문헌에 추가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Radiology, Debra L. Monticciolo et al., 'Outcomes of Breast Cancer Screening Strategies Based on Cancer Intervention and Surveillance Modeling Network Estimates', https://pubs.rsna.org/doi/10.1148/radiol.232658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세균 침입하면 항생제 방출…임플란트용 코팅 소재 개발
국내 연구진이 세균 침입에 반응해 항생제를 방출하는 치과 치료 소재를 개발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최현선 박사 연구팀이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홍합 접착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임플란트용 코팅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임플란트는 상한 치아를 빼낸 뒤 턱뼈에 나사를 심고 치아를 대체할 보철물을 끼우는 치과 치료법이다. 임플란트는 시술 부위가 세균에 감염되면 고정력이 약해지고 각종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항생제를 포함한 임플란트 코팅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연구팀은 홍합 접착 단백질 아미노산 중 하나인 도파(DOPA)에 주목했다. 홍합의 강력한 접착력 핵심인 도파는 금속 이온과 강력한 결합을 형성하는 아미노산으로 산성도가 낮으면 금속 이온과 결합력이 약해지는 특징이 있다. 연구팀은 몸속에 세균이 침입하면 그 주변 산성도가 낮아지는 점에 착안해 새로운 임플란트용 코팅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일반적 환경에서는 내부에 항생제를 품고 있다가 세균에 감염돼 주변이 산성화하면 8시간 안에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