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07.20
(일)
동두천 23.0℃
흐림
강릉 20.8℃
흐림
서울 27.9℃
비
대전 28.0℃
구름많음
대구 27.6℃
흐림
울산 25.5℃
구름많음
광주 28.6℃
구름조금
부산 28.2℃
구름조금
고창 28.4℃
구름조금
제주 29.8℃
구름많음
강화 26.6℃
흐림
보은 23.2℃
구름많음
금산 27.2℃
구름많음
강진군 29.6℃
구름많음
경주시 26.8℃
구름많음
거제 28.6℃
맑음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학회.학술.건강
홈
학회.학술.건강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9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심평원, 의료기관 599곳 폐렴 적정성 평가…1등급 311곳
건강보험심사평원은 전국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599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6차 폐렴 적정성 평가 결과 311곳(51.9%)이 1등급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2023년 10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성인 폐렴 환자가 입원한 상급종합병원 46곳, 종합병원 304곳, 병원 249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진료 적정성을 평가한 결과 1등급은 311곳으로 서울 44곳, 경인 73곳, 강원 9곳, 충청 28곳, 전라 53곳, 경상 98곳, 제주 6곳 등 전국 모든 권역에 걸쳐 분포했다. 평가 항목은 ▲ 산소포화도 검사 실시율 ▲ 중증도 판정 도구 사용률 ▲ 객담 배양검사 처방률 ▲ 첫 항생제 투여 전 혈액 배양검사 실시율 ▲ 병원 도착 8시간 이내 적합한 첫 항생제 투여율 등 5개다. 이번 평가에서는 모든 지표가 지난 4차 평가 대비 개선됐다. 직전에 수행된 5차 평가는 당시 코로나19 유행으로 대상 기관과 건수가 대폭 감소하는 등 평소와 다른 양상을 보여 비교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번 평가에서 산소포화도 검사 실시율은 96.4%로 4차 평가 81.9% 대비 14.5%포인트(p) 높아져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됐다. 중증 폐렴의 경우 저산소증이 발생할 수 있어 환
상반기 빅5 전공의, 작년 말 대비 2.4배…의정갈등 전 20% 수준
외국 의대 출신 국시 예비시험 합격자 작년比 3배 급증
한강성심병원, 고압산소치료기 추가 도입…"총 36명 동시치료"
전공의들 복귀 요구안 논의…"중증·핵심의료 재건 위한 목소리"
메디칼산업
더보기
의료 AI 기업에 데이터 분석비용 최대 4억원 지원
정부가 의료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데이터 가공·분석비용을 최대 4억원까지 지원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안전한 의료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내달 8일까지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운영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으로, 8곳 안팎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들 기업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이 보유한 데이터를 요청해 가공·분석할 수 있게 대형과제엔 최대 4억원, 중형과제엔 최대 2억원을 지원한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의료기관에 축적된 임상 데이터를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데이터 인프라와 활용 절차 구축을 지원받는 의료기관으로, 전국 43개 병원이 총 7개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 중이다. 복지부는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다양한 의료 AI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요자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사례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빅파마 특허 만료로 306조 손실"…바이오시밀러 황금기 오나
대웅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재사용 제품, 1년간 100여곳 도입"
바이오, 합성약 대세 꺾나…글로벌 신약 42% 차지
메디칼산업
더보기
의료 AI 기업에 데이터 분석비용 최대 4억원 지원
정부가 의료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데이터 가공·분석비용을 최대 4억원까지 지원한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안전한 의료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내달 8일까지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의료데이터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운영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으로, 8곳 안팎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들 기업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이 보유한 데이터를 요청해 가공·분석할 수 있게 대형과제엔 최대 4억원, 중형과제엔 최대 2억원을 지원한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의료기관에 축적된 임상 데이터를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데이터 인프라와 활용 절차 구축을 지원받는 의료기관으로, 전국 43개 병원이 총 7개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 중이다. 복지부는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다양한 의료 AI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요자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사례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했다.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빅파마 특허 만료로 306조 손실"…바이오시밀러 황금기 오나
대웅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재사용 제품, 1년간 100여곳 도입"
바이오, 합성약 대세 꺾나…글로벌 신약 42% 차지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배아 유전체 검사 서비스가 '슈퍼베이비' 논란을 낳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17일 보도했다.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예비 부모는 자녀의 유전 정보를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이 알 수 있다. 현재는 시험관 시술(IVF)을 받는 여성과 커플들이 낭포성 섬유증이나 다운증후군 같은 단일 유전자 변이나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스타트업은 최초로 30억 염기쌍의 배아 전체 유전체를 시퀀싱(DNA의 염기 배열 분석)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배아에서 채취한 5개 세포만으로 전체 유전체를 분석하고, 조현병·알츠하이머·비만 등 1천200여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질병 가능성은 점수화되는데, 이 데이터를 통해 아이를 선별해 낳을 수 있는 셈이다. 오키드헬스 창업자 누르 시디키는 "오키드는 질병을 피할 수 있는 유전적 축복을 받는 세대를 만들고 있다"고 소개하며 "섹스는 즐거움을 위한 것이고, 아기를 위한 것은 배아 스크리닝"이라고 말했다. 오키드헬스의 유전자
"빅파마 특허 만료로 306조 손실"…바이오시밀러 황금기 오나
대웅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 재사용 제품, 1년간 100여곳 도입"
바이오, 합성약 대세 꺾나…글로벌 신약 42% 차지
알테오젠 피하주사제 기술 'ALT-B4', 미국 물질특허 등록
LG화학,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 추가임상서 장기 안전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