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장 ▲ 약제부장 민미나 ◇ 팀장 ▲ 약무팀장 윤지연
보령은 한국암연구재단과 제24회 보령암학술상 수상자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라선영 교수를 선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보령암학술상은 국민 보건 향상을 위해 암 퇴치 연구에 헌신하는 연구자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암연구재단과 보령이 2002년 공동 제정한 상이다. 라 교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부터 연세의대 내과학 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 의대 송당암연구센터 센터장과 대한암학회 이사장을 겸임하며 암 정복을 위한 학술·정책적 기반 마련에 힘썼다. 특히 라 교수는 위암 연구와 치료 발전에 기여하며 종양학 분야를 대표하는 중개연구 전문 임상의로 평가받는다고 보령은 전했다. 위암에서 바이오마커 기반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글로벌 임상 진료 지침을 개정했고, 중개연구에 기반한 위암의 새로운 치료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등 환자 생존율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 또 이를 바탕으로 최근 3년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논문 70편 이상을 게재했다. 올해 보령암학술상 시상식은 서울대학교병원 암연구소에서 진행된다. 라 교수에게는 상금 3천만원과 상패가 수여될 예정이다.
강릉아산병원 이비인후과 박정미 교수팀이 최근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된 '제15회 세계이명학회 학술대회'에서 베스트 포스터상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31개국 420명의 이명 치료 전문가가 모여 최신 연구 성과와 임상경험을 공유했다. 박정미 교수팀은 이명 증상이 발생하는 주파수와 청력이 최대로 손실되는 주파수 간의 관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한 연구를 발표, 세계 최초로 시도했다는 점에서 국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명은 외부 소리 자극 없이도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이다. 특히 환자 개개인의 청력 손실 주파수와 이명이 느껴지는 주파수 사이의 연관성은 매우 복잡하다는 특징이 있다. 박정미 교수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명 초기에는 두 주파수 간의 일치 비율이 높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러한 일치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박정미 교수는 "이명 치료에 있어 이명 증상의 기간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연구"라며 "중추 신경계 변화에 따른 정교한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기 때문에 향후 발전 가능성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