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전체기사 보기

김우중의료인상에 '국내 심장이식 개척자' 박국양 흉부외과 교수

"걷지도 못하고 입술이 파랗던 아이가 수술 후 혈색이 돌고 뛰어다니고…. 그때 희열은 말로 표현을 못 하는데 거기에 매료돼서 흉부외과를 했지요." 제4회 김우중의료인상을 수상한 박국양 가천대길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명예교수(68)는 불모지였던 한국 심장이식 분야를 개척, '최초' 타이틀이 많다. 심장·폐 동시이식 최초 성공, 심장이식에 헬기 이송 최초 도입, 무혈심장이식 최초 성공 등이다. 그는 당시 한국에서 성공 사례가 없었던 심장이식을 배우려고 1990년 미국 애리조나 심장센터로 건너갔다. 오로지 술기를 배워 고국에서 펼치겠다는 생각에 밤낮으로 공부해 1년 만에 미국 의사 시험을 통과했다. 신기한 건 '뭐든지 가르쳐 달라'고 졸라 실전 경험을 쌓은 뒤 1993년 귀국했다. 이듬해 세종병원에서 드디어 심장이식 수술을 하게 됐을 때의 떨림을 그는 잊을 수 없다고 했다. "엄청 떨렸죠. 무조건 살려야 했어요. 이식이 끝나고 심장이 뛸 때 같이 수술한 의료진과 얼마나 기뻐했는지, 꼭 처음 달에 착륙한 것 같은 기분이었다니까요." 국내 3번째 심장이식 성공 사례였던 이 수술 이후 박 교수는 27시간에 걸쳐 심장·폐 동시이식을 국내 최초로 해내는 등 이 분야를 개척해

제22회 화이자의학상에 최형진·목정하·윤승용 교수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한국화이자제약은 '제22회 화이자의학상' 수상자에 서울대 의대 해부학교실 최형진 교수, 부산대 의대 내과학교실 목정하 교수, 울산대 의대 뇌과학교실 윤승용 교수가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최형진 교수는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1(GLP-1) 비만치료제의 중추신경계 작용기전에 대해 규명한 업적을 인정받아 기초의학상 수상자에 선정됐다. 임상의학상 수상자인 목정하 교수는 주요 결핵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다제 내성 결핵' 치료에서 기존 주사제 포함 20개월 장기요법에 비해 9개월 단기요법의 비열등성을 최초로 입증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윤승용 교수는 타우병증(Tauopathy) 유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을 표적화하는 단일 클론 항체 'Y01'를 신규 발굴하고, 세포 및 실험동물 모델을 통해 치료기능을 검증해 중개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화이자의학상은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주관하고 한국화이자가 후원하는 의학상으로, 국내 의학계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1999년 제정됐다. 최근 2년 이내 발표된 논문의 우수성, 창의성, 과학성, 공헌도 등을 평가해 수상자를 선정한다. 올해 시상식은 11월 6일 연세대 동문회관에서 개최될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崔대행 "2주간 설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의료 역량 집중"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 "국민이 안심하고 설 명절을 보내도록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을 차질 없이 집행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하고 "정부는 지난 22일부터 2월 5일까지 2주간을 '설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설연휴 비상진료대책 추진상황, 지방자치단체 응급의료체계 운영상황, 부처별 조치사항 등이 논의됐다. 최 대행은 "연휴 기간 응급의료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전국 모든 응급의료기관에 1대1 전담관을 배정하고 보건복지부와 중앙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24 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해 필요한 사안을 신속 조치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위험 산모, 신생아 진료·이송, 야간 소아진료, 심뇌혈관질환, 수지접합, 급성복증 등 특수질환 진료를 거론하면서 "소방청은 의료기관, 복지부,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 협업해 신속한 이송체계를 시행하고, 경찰청도 연휴기간 의료현장 안전관리에 소홀함이 없도록 준비해달라"고 지시했다. 최 대행은 "이번 설연휴에는 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