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09.02
(화)
동두천 29.3℃
구름많음
강릉 33.1℃
맑음
서울 29.7℃
구름많음
대전 30.6℃
구름조금
대구 30.8℃
구름조금
울산 31.3℃
맑음
광주 30.5℃
구름조금
부산 31.2℃
맑음
고창 31.0℃
맑음
제주 31.5℃
맑음
강화 28.8℃
구름많음
보은 27.9℃
구름조금
금산 29.4℃
맑음
강진군 30.8℃
구름조금
경주시 31.7℃
맑음
거제 30.6℃
구름조금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지자체일정
홈
오늘의 일정
지자체일정
이전
1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9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작년 병의원 등에서 쓴 '개인의료비' 200조 육박…9년만에 2배로
지난해 우리 국민이 병의원이나 약국 등에서 쓴 '개인 의료비'가 2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의료비를 포함한 지난해 전체 '국민의료비'는 처음으로 210조원을 넘었다. 보건복지부의 국민보건계정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의료비는 196조6천380억원(잠정)으로 집계됐다. 개인 의료비(Personal Health Expenditure)는 집합보건의료비(Collective Health Expenditure)와 함께 '국민의료비'를 구성한다. 개인 의료비는 개인에게 직접 주어지는 서비스 혹은 재화에 대한 지출을 뜻하는 것으로, 흔히 병의원 등 의료기관이나 약국에서 발생한 지출이다. 반면 집합보건의료비는 예방 및 공중보건사업이나 보건행정관리를 위한 지출로, 공중을 대상으로 발생한다. 복지부에 따르면 국민의료비는 2022년 205조4천880억원에서 2023년 203조4천200억원으로 한 차례만 줄었을 뿐, 1970년 이래 매년 최고치를 경신해왔다. 지난해 국민의료비(213조1천90억원)는 처음으로 210조원을 넘겼다. 1인당 의료비는 처음으로 400만원대로 올라서 412만1천원(이상 잠정치)으로 집계됐다. 연세대·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국민보건계정 연구진은 "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르포] 적막했던 의과대학 다시 활기…강의실엔 입대 공백도
'간호사 교대제 개선' 시범사업 확대…94개 병원 참여
제천한방엑스포 산업관에 국내외 276개사 입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파 읽는 AI, 속마음까지 가능할까
"스트레스 지수가 위험 수준입니다." 최근 한 대학 캠퍼스에서 시범 운영된 인공지능(AI) 감정 분석 기기를 착용한 대학생 A씨는 화면에 뜬 문구를 보고 잠시 당황했다. 아무 말 없이 앉아만 있었는데 이 기계가 뇌파를 분석해 자신의 감정 상태를 짚어냈기 때문이다. AI 기술의 놀라운 진보를 실감하는 순간이기는 하지만 그렇다면 정말 AI가 인간의 속마음까지 읽어낼 수 있는 것일까. ◇ 감정을 읽는 기술, 어디까지 왔나 뇌파(EEG·Electroencephalogram)는 뇌세포의 전기 신호를 감지해 뇌 활동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이다. 본래 뇌전증이나 수면장애 같은 질환 진단에 주로 쓰였지만, 최근에는 AI와 결합해 감정 분석 분야로까지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 AI는 특정 감정 상태에서 뇌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수천 건의 데이터를 학습한다. 기쁨, 분노, 불안, 무감정 등 다양한 감정을 구분해내는 방식이다. 실제로 중국 상하이교통대 연구진은 뇌파와 표정, 심박수 등을 함께 분석한 모델로 90%가 넘는 감정 분류 정확도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통제된 실험 환경에서나 가능한 수치다. 현실에서는 전자기 간섭, 움직임, 개인별 뇌 반응 차이 등 다양한 변수로
"AI-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결합…마비환자 조종 능력 4배↑"
"국내 수면제 처방 12년간 4배로…코로나 시기 20대서 많아"
소아 아토피 피부염 원인, 엄마의 장내 미생물에 있다
소아 백혈병, '남은 암세포' 검출해 맞춤 치료…생존율 90%로
메디칼산업
더보기
동아제약, '모닝케어 위솔루션 젤리스틱' 출시
동아제약은 음주로 인한 위 건강 고민을 덜어줄 기능성 표시 식품 '모닝케어 위솔루션 젤리스틱'을 선보인다고 1일 밝혔다. 이 제품은 위 점막 보호 기능성으로 식약처 개별 인정을 받은 원료 '인동덩굴꽃봉오리추출물(그린세라-F)'을 함유했다. 위솔루션 젤리스틱은 복숭아와 배 추출물이 더해져 부담 없는 달콤한 맛과 쫀득한 식감이 특징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스틱형 젤리 제형이다. 출시를 기념해 1+1프로모션, 간 솔루션 젤리스틱 교차 증정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창립 57년' 동국제약, 센텔리안24 마데카 크림 기획세트 출시
코어라인소프트·오트밀헬스, 폐암 스크리닝 AI 솔루션 개발 계약
모더나, 최신 코로나19 변이 대응 백신 국내 허가
"파킨슨병 신약, 안전성·내약성 확인"
오늘의 일정
더보기
[오늘의 증시일정](2일)
[오늘의 주요 일정](2일·화)
[주요 신문 사설](2일 조간)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일 조간)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