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 등 간 질환 연구에 헌신하는 한편 '인간성 회복' 운동에도 힘쓴 김부성(金富成) 가톨릭대 명예교수가 11일 오후 4시20분께 서울 구파발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고 유족이 전했다. 향년 만 87세.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난 고인은 가톨릭대 의대 1회 졸업생이다. 1971년부터 모교 내과 조교수가 된 뒤 '한국형 C형 간염과 원발성 간암의 위험인자'라는 논문을 발표하는 등 C형 간염 연구를 선도했다. 대한간학회·대한소화기학회·대한내과학회 회장을 비롯해 아시아태평양 간학회 사무총장, WHO 간염연구소 한국 연구소장 등을 역임했다. 1988∼1990년에는 대한간학회 회장을 지냈다. 또 1990년 사단법인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를 만든 뒤 '나부터, 한번 생각, 두번 봉사, 세번 희생'이라고 쓴 차량 스티커를 배포하거나 시골 벽지 초등학교 어린이에게 '사랑의 일기장' 보내기 운동을 벌이는 등 '인간성 회복'과 '더불어 사는 사회' 만들기에 힘썼다. 가톨릭의대 부속 강남성모병원 원장을 시작으로 경영인의 길을 걷기 시작, 2001년 순천향대 부천병원 초대 원장으로 취임했고, 순천향대 의무부총장 겸 중앙의료원장, 학교법인 동은학원 이사장, 대한병원협회 부회장 등을
이종호 JW그룹 명예회장이 30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0세. JW그룹에 따르면 이 명예회장은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던 중 전날 병세가 급격히 악화해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면에 들었다. 고인은 1945년 조선중외제약소(JW중외제약 전신)를 창립한 이기석 창업주의 차남으로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났다. 서울고등학교와 동국대 법학과를 거쳐 고려대 경영대학원을 수료한 그는 1966년부터 회사 경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이 회장은 1969년 국내 최초이자 세계 두 번째 합성 항생제인 '리지노마이신' 개발을 이끌었다. 리지노마이신은 1973년 영국 약전에 수록되기도 하며 경영 위기로 어렵던 회사를 일으켰다. 이후 1960년대 후반부터는 머크, 애보트 등 유럽과 미국의 주요 제약사와 기술 제휴를 맺으며 전문의약품 중심으로 사업을 확대했다. 이 회장은 이윤이 별로 남지 않는 수액 사업에 지속해 투자하며 2019년 종합영양수액 '위너프' 완제품을 아시아권 제약사 최초로 유럽에 수출하는 기반을 닦았다. 1975년 중외제약 사장으로 취임한 이 회장은 신약 개발의 중요성을 항상 강조했다. 그러면서 1992년에는 국내 최초의 합작 바이오벤처 C&C신
▲ 최동안(전 육군 대령)씨 별세, 최광섭·최인섭(철원무역 대표)씨 부친상, 박창식(재미)·고동규(재뉴질랜드)·김호성(세브란스 어린이병원장)씨 장인상 = 13일 낮 12시 36분,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1호실(14일부터 3호실), 발인 15일 오전 9시. ☎ 02-2227-7547
[부고] 김재중(서울아산병원 교육부원장)씨 모친상 ▲ 김순동(개원여중 교장)씨 별세, 김명희·김재중(서울아산병원 교육부원장)·김희중씨 모친상, 정혜림(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씨 시모상, 정한수씨 장모상 = 15일 오후 10시55분,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23호실, 발인 18일 오전 6시20분, 장지 대전현충원. ☎ 02-3010-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