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11.22
(토)
동두천 12.8℃
맑음
강릉 15.5℃
맑음
서울 14.2℃
맑음
대전 13.4℃
맑음
대구 15.4℃
맑음
울산 15.4℃
맑음
광주 14.8℃
맑음
부산 15.4℃
맑음
고창 14.1℃
맑음
제주 15.5℃
구름조금
강화 12.4℃
맑음
보은 13.1℃
맑음
금산 13.3℃
맑음
강진군 14.5℃
맑음
경주시 14.8℃
맑음
거제 12.4℃
맑음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카페
홈
반려동물
카페
이전
1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9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 주의보…충북 감염자 지속 증가
충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강력한 항생제에도 내성을 보이는 세균인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 감염증 환자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22일 밝혔다. CRE 감염증은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최소 한 가지 이상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세균목 균종에 의한 감염질환이다. 주로 의료기관 내에서 감염된 환자나 병원체 보유자와의 직·간접 접촉, 오염된 기구 등을 통해 전파된다. 세균 감염 질환 시 항생제 오남용이 한 원인으로 꼽히며, 감염되면 대부분의 항생제가 듣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다. 질병관리청의 감염병 통계에 따르면 국내 CRE 감염자 수는 2022년 3만548명에서 지난해 4만2천347명으로 2년 새 38.6%(1만1천799명) 급증했다. 올해도 이달 16일 기준 4만2천509명에 이르고 있다. 충북도내 CRE 감염자 수 역시 2022년 302명, 2023년 461명, 지난해 562명, 올해(이달 16일 기준) 742명으로 해마다 지속해서 증가세를 보인다. 윤방한 도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과장은 "CRE 감염증은 장기 입원 환자나 면역저하자에게 발생 위험이 더욱 크다"며 "의료기관 내 철저한 감염 예방 교육과 환경 소독, 개인위생 실천, 의사 처방에
동탄2 종합병원 건립 우선협상자로 고려대병원 컨소시엄 선정
5년 만에 4배 폭증…'바이오 빅데이터' 판이 바뀌었다
권익위 "의료취약지역 영유아 검진기관 지정기준 완화해야"
'한의사 레이저 미용시술' 놓고 의사 vs 한의사 또 충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먹는 GLP-1 치료제, 당뇨·비만 환자 체중·혈당 개선 효과"
당뇨·비만 치료 주사제인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작용제를 알약으로 만든 경구용 치료제가 임상 3상 시험에서 비만·제2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감소와 혈당 개선 효과를 보였다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대 휴스턴 보건과학 센터(UT Health) 데버라 혼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서 비만이 있는 제2형 당뇨병 환자 1천600여명을 대상으로 한 GLP-1 경구용 치료제가 임상 3상 시험에서 72주간 평균 5.5~105%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였다고 22일 밝혔다. 혼 교수는 "복용이 더 간편한 경구용 GLP-1 약물이 매우 뛰어난 체중 감량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다면, 비만과 당뇨병을 가진 환자들에게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장질환, 고혈압, 특정 암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현재 비만 치료용 GLP-1 약물은 매일 또는 매주 주사하는 주사제가 대부분이어서 냉장 유통·보관 필요성, 주사 위험 및 불편 등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제2형 당뇨병·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경구용 GL
'서울대 안양수목원' 상시 개방 2주 만에 11만명 방문
암환자 생존율, 다발성골수종 높아지고 구강암 낮아져
"감기 치료에 항생제가 도움?"…국민 72% 잘못된 항생제 인식
"당뇨·비만약 티르제파티드, 음식 갈망 단기간 억제 효과"
메디칼산업
더보기
릴리, 2025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위크…글로벌 협력 전략 공유
한국릴리는 지난 14일까지 사흘간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5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위크 - 바이오헬스'에 참여해 릴리의 오픈이노베이션 전략과 협력 모델을 발표하고, 국내 바이오·메드텍 기업들과의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심층적인 협업 기회를 모색했다고 21일 밝혔다. 구르키라트 싱 부사장은 12일 열린 '글로벌 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력 기획 모색' 세션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혁신 신약 개발 가속화'를 주제로 강연하고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인 '릴리 카탈라이즈360'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초기 단계부터 임상시험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통합형 협력 모델을 소개했다. 릴리는 국내외 기술 수요기업과 국내 바이오·메드텍 참가기업 간의 1:1 파트너링 세션에서 참여한 멘토 기업 중 국내 기업들의 신청서를 가장 많이 받아이틀에 걸쳐 파트너링 세션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한독,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성인 1형당뇨 워크숍 당;연(聯) 후원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베트남 주요 의료진 초청 설명회
정형외과 임플란트 '시지메드텍', "3분기 누적 영업익 흑자 전환"
동아제약,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 2년 연속 대통령상
오늘의 일정
더보기
[오늘의 주요 일정](21일·금)
[오늘의 증시일정](21일)
[전국 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1일 조간)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