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는 항생제 내성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국제 임상시험을 국내에서 시작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항생제 내성균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의 효과를 기존 표준치료법과 비교·평가하는 다국가 무작위 임상시험이다. 국내에서 최근 환자가 늘고 있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과 다제내성 녹농균 감염증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내성 유전자 기반의 조기 진단 치료법이 환자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은 아시아 내 감염병과 항생제 내성 관련 임상 연구를 위해 설립된 '아시아 감염병 임상시험 네트워크'와 함께 진행하는 것으로, 연구소는 싱가포르국립대와 협력해 이번 임상에 참여한다.
세포 내 단백질 수송을 담당하는 소기관인 '골지체'(Golgi apparatus)가 위암 악화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가톨릭중앙의료원은 김지윤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세포 소기관인 골지체의 구조적 변화가 위암 악성화를 촉진하는 결정적 요인으로 확인됐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위암 세포의 악성도는 골지체의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었다. 정상 세포에서는 골지체가 비교적 넓게 흩어져 있지만, 위암 세포에서는 오히려 골지체가 응축된 형태로 뭉쳐진 현상이 관찰됐다. 연구팀은 이 응축된 골지체가 단순한 구조 변화가 아니라 암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봤다. 골지체가 응축되면 세포 내에서 도로망 역할을 하는 미세소관이 더욱 활발히 형성되고, 미세소관을 통해 암을 촉진하는 단백질 'YAP1'(Yes-associated protein 1)이 빠르게 세포핵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위암 세포의 악성화가 촉진된다는 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연구팀이 실제 위암 환자의 조직을 분석했을 때도 골지체가 응축한 환자일수록 암을 촉진하는 YAP1 단백질의 활성도가 높았고, 암세포의 공격성도 강했다. 특히 위암 중에서도 예후가
국립부경대는 의공학전공 남승윤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병원 정은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식도 재건을 위한 인공식도 제작용 융합 바이오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현재 질환이나 손상으로 식도 결손이 발생하면, 위나 대장을 이용한 이식수술 재건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지만, 염증 반응 등 여러 합병증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제 식도와 유사한 생체적합성과 기계적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차세대 인공식도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탄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나노섬유를 제작한 뒤, 미세구조 내부에 천연 단백질을 패턴화해 구조적 강도와 친수성을 높였다. 이어 식도에서 유래한 탈세포화 세포외기질을 정밀 압출 프린팅으로 쌓아 올려 식도 조직과 유사한 미세환경을 구현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식도의 복잡한 구조와 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구현한 첫 사례"라며 "단일 공정에서 기계적 강도와 친수성, 조직 재생을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 제조 전략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생체재료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지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후천적으로 발현된 유전 난청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효과를 국내 연구진이 확인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지헌영 교수, 장승현 강사, 해부학교실 복진웅 교수 연구팀은 대립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해 후천성 유전 난청의 청력 개선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난청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유전자 변이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최재영, 정진세 교수팀과 구축한 난청 환자 코호트를 분석한 결과 KCNQ4 유전자 변이로 생기는 유전성 난청(DFNA2)이 한국인이 보이는 상염색체 우성 난청 가운데 가장 흔한 형태라고 확인했다. 돌연변이 단백질이 정상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하는 것이 원인인데 현재는 치료할 수 있는 약이 없어 재활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KCNQ4 유전자 중 돌연변이 대립유전자가 만드는 리보핵산(RNA)에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제를 개발했다. 돌연변이 유전 정보를 담은 RNA에 이 약이 결합하면서 더 이상 변이 단백질이 생성하지 못하도록 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KCNQ4 유전자 변이를 유도한 쥐의 내이에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주입했을 때 청력이 15∼20데시벨(dB) 정도 향상되는 것을
국회에서 논의 중인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 48%가 반대해 찬성 의견보다 우세하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성분명 처방이란 의사는 약의 성분 이름으로 처방을 내리고, 약사는 해당 성분의 의약품 중 하나를 선택해 조제할 수 있게 하는 제도로 의약품 수급 불안정 등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대한병원의사협의회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9일부터 일주일간 실시한 설문 결과를 14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성분명 처방에 반대하는 응답자 비율은 전체의 47.5%로 찬성 비율(43.9%)보다 약간 우세했다. '잘 모르겠다'는 8.6%였다. 이에 협의회는 "제도에 대한 국민 우려가 크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성분명 처방 강행 시 생길 수 있는 약화 사고 가능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국민 과반은 복제약 자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응답자의 66.5%는 '성분이 같으면 제조회사가 달라도 효과는 같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의사가 처방한 약을 의사나 환자의 동의 없이 약사가 동일한 성분의 복제약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제도에 반대한다'는 비율은 76.3%로 찬성 의견(16.
삼성서울병원은 순환기내과 중재시술팀이 심장성 쇼크 환자에게 국내에서 처음으로 '임펠라' 시술을 시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임펠라(Impella)는 급성 심근경색을 동반한 심장성 쇼크 환자의 손상된 심실 기능을 보조하는 기계 순환장치다. 대퇴동맥을 이용해 좌심실 내에 삽입한 후 펌프를 작동시켜 좌심실 혈액을 대동맥으로 내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환자 상태가 안정되면 다시 제거할 수 있다. 심장성 쇼크는 급성 심근경색, 심근병증, 심근염 등으로 심장의 펌프 기능이 급격히 떨어져 전신에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로, 생존율이 40%가량에 불과할 정도의 응급상황이다. 그간 국내에선 심장성 쇼크를 치료하기 위해서 주로 약물이나 대동맥 내 펌프,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장치) 등을 이용했는데, 임펠라 도입으로 생존율 향상이 기대된다고 병원 측은 밝혔다. 첫 시술을 맡은 양정훈 교수는 "임펠라가 국내에 도입돼 심장성 쇼크 환자들에게 다양한 치료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더 많은 환자들이 건강을 회복하고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늘의 주요 일정](14일·금) [정치] ▲ 김민석 국무총리 기아 화성 EVO 플랜트 준공·기공식(09:00 경기도 화성시) 뚝섬 수상활동 안전점검(14:00 서울시 광진구) ▲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9:00 본관 446호) 기획재정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10:00 본관 431호) 교육위원회 전체회의(10:00 본관 522호)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10:00 본관 401호)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10:00 본관 506호) 국토교통위원회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10:00 본관 529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예산결산소위원회(14:00 본관 534호)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14:00 본관 622호)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 부산 현장 최고위원회의(10:00 부산시당 대회의실 / 부산 동구 중앙대로 450 3층) 정청래 당대표, <G-STAR 2025> 부스 라운딩(13:30 벡스코 제2전시장 / 부산 해운대구 APEC로 55) 정청래 당대표, <G-STAR 2025> K-GAME 미래 전략을 위한 현장 간담회(14:40 벡스코 제1전시장 315호) ▲ 국민의힘 장동혁
[오늘의 증시일정](14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티로보틱스 [117730](BW행사 39만5천946주 1만4천182원, CB전환 66만6천132주 8천767원) ▲ 오가닉티코스메틱 [900300](유상증자 1억주 340원) ▲ 카카오 [035720](스톡옵션 6만6천20주 3만2천262원) ▲ 셀트리온 [068270](스톡옵션 7천109주 7만9천311원, 스톡옵션 5천958주 7만1천999원, 스톡옵션 1천155주 15만6천285원, 스톡옵션 270주 15만6천746원, 스톡옵션 3천650주 12만3천606원, 스톡옵션 3천673주 12만8천858원) ▲ 제테마 [216080](스톡옵션 13만9천주 5천250원, 스톡옵션 1만주 4천75원) ▲ 루닛 [328130](스톡옵션 3만8천356주 7천원, 스톡옵션 5천주 1만1천625원, 스톡옵션 8천800주 2만1천500원) ▲ 로킷헬스케어 [376900](스톡옵션 1만주 1만400원, 스톡옵션 16만1천800주 1만4천420원, 스톡옵션 2만9천850주 2만원) ▲ 대진첨단소재 [393970](스톡옵션 1만주 2천250원)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476040](스톡옵션 1만7천870주 5천224원) ▲
▲ 경향신문 = 고리 2호기 연장, 안전 빈틈 없는 에너지믹스 돼야 문재인 청와대가 '통계조작 지시'했다더니, 말 바꾼 검찰 1500원 육박한 환율, 금융·물가 안정 대책 시급하다 ▲ 국민일보 = 심각한 청년 고용 한파, 정년 연장에 급급해선 안 된다 편리한 비대면 확대, 대학의 창의성 교육 가능하겠나 젠슨 황 26만개 약속했지만 GPU발 거품 붕괴 경계해야 ▲ 동아일보 = "6대 분야 구조개혁 추진"… 잠재성장률 높여야 진짜 성공 시종 눈치 살피고 책임 떠넘기던 노만석의 초라한 퇴장 "한계기업이 GDP 0.5% 끌어내려"… 퇴출 서둘러야 ▲ 서울신문 = 6대 구조개혁, 구호 아닌 '핀셋 실천'이 성패 가른다 고리 2호기 재가동 허가… 'AI 강국' 도약 발판 돼야 국토장관·서울시장 뒷북 '집값 회동'… 보완책·공급 속도를 ▲ 세계일보 = "부대껴 왔다"는 노만석의 엄중한 발언, 진상 밝혀라 李, 6대 부문 개혁 시동… 정권 명운 걸고 속도 내야 고리 2호기 '계속 운전' 허가, 신규 원전도 서두르길 ▲ 아시아투데이 = 원화값 급락… 생산성 제고할 구조개혁 시급 與 잇단 '검사 겁박', 검찰 시스템 붕괴 우려된다 ▲ 조선일보 = '동료 고발' 요구한 정부 "
▲ 경향신문 = "항명 검사 단죄" … 검찰 몰아붙이는 여당 ▲ 국민일보 = 탈원전 일단 멈춤, 고리 2호기 재가동 ▲ 동아일보 = 李 "가난한 사람에 비싼 이자 '금융계급제' 개혁" ▲ 매일일보 = 수능 작년 비슷… "약간 어려워" 평가도 ▲ 서울신문 = 멈췄던 고리 2호기 재가동 李정부 '에너지믹스' 신호탄 ▲ 세계일보 = 멈췄던 고리 2호기 다시 돌린다 ▲ 아시아투데이 = 盧신속정리… '외압설' 차단나선 용산 ▲ 일간투데이 = AI가 키운 반도체 특수… ICT 수출, 10월 기준 역대 최대 ▲ 조선일보 = 중장 대거 물갈이 31명 중 20명 교체 ▲ 중앙일보 = 멈췄던 고리 2호기 2년반 만에 재가동 ▲ 한겨레 = "내년 6대 분야 개혁" 잠재성장률 반등 사활 ▲ 한국일보 = 李 "잠재성장률 반등" 6대 구조개혁 신호탄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거래 절벽·공급 불신…시장 혼란 키웠다 ▲ 디지털타임스 = 이재용, 드디어 '공격경영' 나섰다 ▲ 매일경제 = 韓반덤핑관세 비웃는 중국産 철강 ▲ 브릿지경제 = 고리 2호기 재가동된다 2033년까지 수명 연장 ▲ 서울경제 = 은행권에 홍콩ELS 과징금 1조 물린다 ▲ 아시아타임즈 = 올해 수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