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단순 찰과상으로 대형병원 응급실을 찾게 되면 다른 병원으로 돌려보내지거나 더 많은 비용을 내야 한다. 정부는 응급의료기관의 과밀화를 막고 분초를 다투는 중증응급환자가 신속한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증, 중등증, 경증 응급의료기관을 명확히 구분하고 환자가 중증도에 맞는 응급의료기관을 이용하게 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가 21일 발표한 제4차 응급의료기본계획에 따르면 현재 각각의 역할이 모호한 권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센터-지역응급의료기관 체계를 중증, 중등증, 경증 응급의료기관으로 기능을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개편된다. 지난 세 번의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통해 응급의료기관 체계를 구축하고 이송 및 진료 기반을 강화하는 등 응급 의료 대응 체계를 발전시켜왔지만, 개선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한 응급실에 심뇌혈관 등 중증응급 환자부터 단순 타박 등 경증 환자까지 다양한 환자가 뒤섞이면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어려워지고, 결국 중증응급환자가 골든타임을 놓치는 사례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 '환자 뒤섞인' 응급실 더는 안돼…중증도 기준으로 체계 개편 정부는 이번 4차 기본계획에서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재
어깨부터 고관절까지 등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건강보험 총진료비가 한의원을 제외하고도 연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등통증 양방 진료비는 최근 4년 사이 3천700억원가량 증가했는데, 그 증가 폭이 진료인원 증가 폭의 6배에 달했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등통증(질병코드 M54) 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 512만3천996명이었던 등통증 환자는 2021년 546만4천577명으로 34만581명(6.6%)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1.6%로 나타났다. 이 데이터는 한의분류, 약국을 제외한 것이다. 같은 기간 여성 환자는 3.8% 늘어난 데 비해 남성 환자는 10.7% 늘어 증가 폭이 훨씬 가팔랐다. 2021년 등통증 진료 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60대가 111만5천710명(20.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04만1천405명(19.1%), 40대가 84만1천352명(15.4%) 순이었다. 인구 10만명당 등통증 환자의 진료 인원을 보면 70대가 10만명당 2만1천197명, 80세 이상이 2만18명, 60대 1만5천975명, 50대 1만2천99명 등의 순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등통증 질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한국한의학연구원(KIOM)이 한약재의 열처리 온도·횟수·시간을 표준화해 약효를 증진하는 현대화 가공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한의학연구원에 따르면 한약자원연구센터 강영민 박사연구팀이 'KIOM숙지황 현대화 가공 포제 기술'을 적용한 숙지황에서 유효 성분·효능이 증진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포제는 약재 배합·혼합 등 한약재 성질에 맞게 찌거나 볶는 등의 가공 과정을 말한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약재 효능을 높이고 독성을 줄일 수 있다. 연구팀은 일정한 원물을 대량 생산·공급할 수 있는 'KIOM지황 원물생산 체계'를 이용해 생산한 지황 뿌리에 현대화된 포제기술을 적용했다. 전통 포제법은 찌고, 약주를 묻혀 햇볕에 말리는 절차 등을 9번 반복(구증구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대화된 가공 포제기술은 열처리 온도·횟수·시간·에탄올 농도를 조절해 표준화한 방법이다. 이를 적용해, 항산화·면역력 증진에 효과적인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등 유효 성분 함량이 전통 포제 방식으로 생산된 숙지황보다 30% 이상 증진된 숙지황을 얻어냈다. 연구팀은 전통 방식보다 제조시간이 줄어 경제성도 높고, 다른 한약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영민 박사는 "전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