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대한전공의협의회-대한수련병원협의회 '맞잡은 손'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835/art_17562451210079_f0a324.jpg?iqs=0.7155035682838949)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와 대한수련병원협의회(대수협)는 지난 26일 전공의 복귀 후 의사 수련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대수협은 전국의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 수련을 담당하는 병원들의 모임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성존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김원섭 대수협 회장을 포함해 서울대병원 등 주요 수련병원 전공의 비대위원과 병원장들이 참석했다.
조병기 대수협 이사는 간담회 종료 후 취재진에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끝나가며 상당수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으로 돌아왔는데 같이 환자를 보면서 갈등을 줄여나가고자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조 이사는 "최근 일부 병원 전공의들이 '복귀하는 조건으로 당직을 서지 않겠다'고 해 오해가 있었는데, 오늘 얘기를 해 보니 상당수의 전공의들은 돌아와서 성실히 수련에 임하려는 마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정일 대전협 대변인도 "이건 당신 일, 이건 내 일이라는 접근보다 수련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를 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다"며 "복귀 후 갈등을 최소화하고 화합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다기관 협력 수련과 관련해서는 전공의 측에서 '수련을 받기 어려운 환경으로 가거나 하는 경우에 대비해 수련 기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고, 수련병원들도 이에 수긍했다.
전공의들의 의견을 수렴해 수련의 큰 틀을 논의하는 수련환경 개선 TF에 대해서도 병원들은 기본적으로 필요성을 공감했다.
다만 조 이사는 "수련 환경과 업무 분장을 조정하는 콘트롤타워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이를 병원에 강제하기는 어렵다"며 "대수협의 200여개 회원 병원에 건의를 드리고 최대한 많은 병원에서 전공의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양측은 이날 간담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부가 참여하는 수련협의체에도 전달해 실제 현장에서 반영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