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대표·병원장들 '맞잡은 손'…"복귀 후 갈등 최소화"

전공의 참여하는 수련환경 TF 설치 등 제안…"수련협의체에 건의"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와 대한수련병원협의회(대수협)는 지난 26일 전공의 복귀 후 의사 수련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대수협은 전국의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 수련을 담당하는 병원들의 모임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한성존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김원섭 대수협 회장을 포함해 서울대병원 등 주요 수련병원 전공의 비대위원과 병원장들이 참석했다.

 조병기 대수협 이사는 간담회 종료 후 취재진에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끝나가며 상당수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으로 돌아왔는데 같이 환자를 보면서 갈등을 줄여나가고자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조 이사는 "최근 일부 병원 전공의들이 '복귀하는 조건으로 당직을 서지 않겠다'고 해 오해가 있었는데, 오늘 얘기를 해 보니 상당수의 전공의들은 돌아와서 성실히 수련에 임하려는 마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정일 대전협 대변인도 "이건 당신 일, 이건 내 일이라는 접근보다 수련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를 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다"며 "복귀 후 갈등을 최소화하고 화합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다기관 협력 수련과 관련해서는 전공의 측에서 '수련을 받기 어려운 환경으로 가거나 하는 경우에 대비해 수련 기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고, 수련병원들도 이에 수긍했다.

 전공의들의 의견을 수렴해 수련의 큰 틀을 논의하는 수련환경 개선 TF에 대해서도 병원들은 기본적으로 필요성을 공감했다.

 다만 조 이사는 "수련 환경과 업무 분장을 조정하는 콘트롤타워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이를 병원에 강제하기는 어렵다"며 "대수협의 200여개 회원 병원에 건의를 드리고 최대한 많은 병원에서 전공의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양측은 이날 간담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부가 참여하는 수련협의체에도 전달해 실제 현장에서 반영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24시간 분만·고위험 신생아 진료' 지역모자의료센터 10곳 선정
보건복지부는 최근 관할 지역 내 24시간 분만·신생아 진료를 수행하는 지역모자의료센터 10곳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곳은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경기)·인하대병원·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인천)·세종충남대병원(세종)·전주예수병원(전북)·현대여성아동병원(전남)·대구가톨릭대병원(대구)·부산대병원(부산)·경상국립대병원·창원경상대병원(경남)이다. 이들 기관에는 당직 전문의 고용 등을 위해 올해 넉 달간 각 1억5천만원, 내년부터 연간 각 4억5천만원(국비 50%·지방비 50%)의 예산이 지원된다. 예산을 지원받은 기관은 관할 지역 내에서 야간에도 임산부가 안전하게 분만하고 산모와 아기가 한 곳에서 진료받을 수 있도록 신생아집중치료실(NICU) 병상을 갖추는 등 24시간 분만·고위험 신생아 진료를 수행한다. 그간 정부는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 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고위험 산모·신생아가 치료받도록 올해부터 중증-권역-지역 모자의료센터의 3단계로 전달체계를 개편하고 중증 센터 2곳에는 설치·운영비 22억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