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베트남 제약 시장 진출 가속…제품군 확대

자가면역질환·항암제 중심 신흥시장 선점 전략

  셀트리온은 아세안(ASEAN) 대표 시장인 베트남에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와 항암제 중심으로 제품군을 확대하며 진출하고 있다고 최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베트남 법인을 설립하고 올해 6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 출시에 이어 이달 유방암·위암 치료제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 출시를 완료했다.

 출시와 함께 현지 최대 규모 군 병원과 램시마 공급 계약을 맺었으며 허쥬마도 베트남 중남부 지역 의료기관 입찰에 낙찰돼 2년간 공급 예정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이 중 셀트리온은 주요 5개 바이오의약품 원료물질을 기준으로, 공립 시장에서 약 1천700억원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연평균 10%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에는 인플릭시맙 피하주사제형인 '램시마SC'와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 판매 허가 및 연내 출시도 추진하겠다고 회사는 덧붙였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에서 올해 1분기 기준 램시마가 인플릭시맙 시장 기준 70% 이상 점유율을 얻었고, 싱가포르에서 램시마 SC가 93% 점유율을 기록하는 등 아세안 주요국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고 셀트리온은 강조했다.

 항암제 분야에서도 허쥬마가 태국 점유율 93%, 말레이시아 52%, 싱가포르 37%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트룩시마는 싱가포르 70%, 태국 61% 점유율을 차지했다고 회사는 덧붙였다.

 셀트리온 정승섭 중부아시아 담당장은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제약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셀트리온은 이러한 시장 변화에 발맞춰 주요 제품들을 성공적으로 출시해 현지 환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바이오의약품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타이레놀 CEO, 美보건장관에 로비…"자폐증 원인으로 언급 말라"
유명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의 제조사가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자폐증 발병 원인으로 타이레놀을 언급하지 말아달라는 로비를 벌였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타이레놀 제조사 켄뷰의 임시 최고경영자(CEO)인 커크 페리는 최근 로버트 케네디 보건복지부 장관과 비공개 회동을 하고 '타이레놀과 자폐증 사이에는 명확한 연관성이 없다'고 설득했다. 페리 CEO는 기존의 연구 결과 임신부의 열을 내리는 데 있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약물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의학계와 미 식품의약국(FDA)은 임신 중 특정 시기에 이부프로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 아세트아미노펜 대체 약물을 복용하면 선천적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은 WSJ이 지난 5일 케네디 장관이 조만간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자폐증과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이후 급하게 추진됐다. 이 보도가 나오자 켄뷰의 주가는 장중 9% 하락했고, 회사 경영진은 정부 보고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켄뷰는 성명에서 "우리는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