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 해면에서 당뇨병성 신장질환 치료 물질 추출"

KIOST, 동아대와 공동연구…손상된 신장 기능 회복, 수명 연장 효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동아대 연구팀이 열대 해양생물을 이용한 당뇨병성 신장질환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

 KIOST와 동아대 의대 윤진호 교수팀은 KIOST 태평양해양과학기지 주변에서 다양한 해양생물자원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열대 해면에서 신장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미토파지(mitophagy) 촉진 물질을 추출했다고 11일 밝혔다.

 미토파지란 손상됐거나 불필요한 미토콘트리아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전으로, 최근 당뇨병 등 다양한 질병의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열대 해면에서 추출한 브롬화페놀계열 해양천연물(PDE701)이 당뇨병성 신장질환 모델의 미토파지 활성을 회복시켜 손상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복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열대 해면과 추출한 해양천연물 분자구조

 이를 통해 당뇨병으로 손상된 신장 기능을 복구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내 향후 미토파지 기반의 신장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에도 나설 계획이다.

 연구팀은 앞서 자체 개발한 초파리 미토파지 모델을 분석해 신장 기능 유지에 미토파지 활성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확인하고 특히 당뇨병성 신장질환 모델에서 신장의 형태적 이상이 나타나기 전에 미토파지 활성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KIOST 관계자는 "앞으로도 해양생물자원을 활용한 공동연구를 확대해 해양 바이오산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실험 및 분자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방사성의약품, 항암 '게임체인저' 될까
'방사성'과 '의약품'은 생소한 조합처럼 느껴질 수 있다. 원리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동위원소를 펩타이드나 항체 등 표적 물질에 결합하면 방사성의약품이 된다. 한국바이오협회 등에 따르면 방사성의약품 치료는 방사성동위원소를 펩타이드나 항체 등 표적 분자에 결합해 이 분자가 암세포 표면의 특정 마커에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표적 분자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암세포에 정확히 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방출된 방사선이 암세포 디옥시리보핵산(DNA)을 손상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방사선을 활용해 종양을 치료하는 개념은 1800년대 후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내부 종양에 외부 방사선 빔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돼왔다. 전신 방사성의약품을 암 치료제로 처음 사용한 건 1940년대로 당시 의료진은 갑상선암 치료에 방사성 요오드를 활용했다. 다만 초기 상용화된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은 종양 특이성이 부족해 체내 안전성 측면에 한계를 보였다. 최근에는 종양 내 흡수율과 체내 유지력을 향상하기 위해 방사성동위원소가 결합된 소분자, 펩타이드, 항체 기반의 의약품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오늘날 대표적 방사성의약품으로는 노바티스의 '루타테라'와 '플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