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호흡기 감염병인 '백일해'의 확산세가 거세다. '백일동안 지속되는 기침'이라는 의미를 가진 백일해는 2급 법정 감염병으로, 2주 이상 지속하는 발작적인 기침과 숨을 들이쉴 때의 '훕'(whoop) 소리, 구토를 동반하는 기침이 지속되는 게 특징이다. 질병관리청 감염병 통계에 따르면, 올해 7월 2일 기준 국내 누적 백일해 감염자는 4천80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0년치(2014~2023년) 백일해 환자 수 2천683명보다도 1.8배 많은 수치다. 작년 같은 기간에 견줘서는 300배나 증가했다. 전체 환자의 54.2%는 6월(3천266명)에 몰렸으며, 최근에는 전국 각지에서 소규모 발병이 확산하는 추세다. 이처럼 백일해 환자가 폭증하자 보건 당국은 환자 밀접 접촉자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격리 조치까지 시행 중이다. 격리 기간은 항생제 복용 시점부터 5일까지이며, 항생제 복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발작성 기침 시작 후 최소 3주다. 이를 두고 의료계에서는 백일해 유행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과 다를 바 없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 기침·재채기 등으로 전파…영유아 감염 땐 치명적일 수도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균(Bordetella pertussis)에 감
수도권을 중심으로 말라리아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야외 활동 때 모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2일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지난 1∼6월 국내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211명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12명, 서울 43명, 인천 30명 등으로 수도권이 전체 환자의 87.7%를 차지했다. 월별로는 4월까지 10명 안팎 수준에 머물다 5월 75명으로 증가한 뒤 지난달에는 102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올 상반기 말라리아 환자는 지난해 상반기의 292명보다는 적지만 2022년 상반기(134명)보다는 훨씬 많다. 지난해의 경우 연간 말라리아 환자가 747명으로 최근 10년 새 가장 많았다. 국내에서 말라리아 환자는 4∼5월 증가세를 보이다가 6∼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되면 야외 활동이 늘어 말라리아 매개 모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지며 환자가 증가한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류 암컷에 의해 전파된다. 말라리아에 걸리면 고열, 오한, 무기력증 등 감기와 유사한 증세가 3일 간격으로 나타나며 치사율은 낮은 편이다. 전문가들은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야간
작년 국내 방역당국에 신고된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신규 감염인이 전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이 지난 26일 발표한 '2023년 HIV/AIDS(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신고 현황 연보'에 따르면 작년 새롭게 신고된 HIV 감염인은 1천5명으로 전년의 1천66명보다 5.7% 줄었다. 한국 국적자가 749명(74.5%)을 차지했다. 외국인의 비중이 2020년 19.5%, 2021년 20.7%, 2022년 22.6%, 2023년 25.5% 등으로 높아지는 추세다. 남성이 89.9%였고, 연령대별로는 30대 35.4%, 20대 28.7%, 40대 15.7%였다. HIV는 AIDS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다. 인간 체내에서 생존하고 증식하면서 감염인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 HIV에 걸렸다고 모두 에이즈 환자는 아니다. HIV 감염인 중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됐거나 감염 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난 사람이 AIDS 환자다. 내국인 신규 HIV 감염인 중 역학조사에 응답한 566명 가운데 2명을 제외한 564명의 감염 경로는 성(性)접촉이었다. 이 중 동성 간 성접촉인 경우는 54.3%(306명)였다. 작년 우리 국민 중
코로나19 유행이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맞은 지난해 코로나19를 제외한 전체 감염병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외 활동이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꼽히는데, 그래도 코로나19 발발 직전보다는 감염 환자 수가 40%나 적었다. 27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에 따르면 작년 전수감시 법정감염병(1~3급) 신고환자 수는 10만9천87명으로 2022년(9만2천831명)보다 17.5% 증가했다. 질병청은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병 위기 단계가 작년 6월1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되고 야외활동이 활발해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수두, 유행선이하선염, 백일해, 성홍열 등 호흡기감염병이 주로 증가했다. 해외여행이 늘면서 모기를 매개로 감염되는 뎅기열, 말라리아 등도 늘었다. 반면 결핵, A형·C형 간염, 후천성면역결핌증(AIDS)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코로나19를 제외한 법정감염병으로 인해 세상을 떠난 사람의 수도 증가했다. 전년(1천456명)보다 10.2% 늘어난 1천604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감염병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 감염증(663명)이었고, 그 다음이 결핵(
지난 18일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지난해보다 한 주 더 빠른 건데요. 최고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져 모기의 활동이 빨라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6∼8월은 국내에서 말라리아 감염이 가장 많은 시기여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죠. 말라리아는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5종류가 있는데, 국내에서는 주로 '삼일열 말라리아'에 감염됩니다. 모기에게 물린 뒤 짧게는 7일, 길게는 2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일단 감염되면 오한, 발열, 발한 증상이 48시간마다 반복되고, 열이 39도 이상으로 오르면서 심한 두통과 구토가 동반될 수 있죠. 김종희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장은 "초기 증상은 거의 감기와 유사해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그러나 두통이 발생할 수 있고 나중에 발열, 오한 이런 것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면 말라리아를 의심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주요 말라리아 발생 지역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등입니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등 말라리아 위험 지역 방문이 늘면서 해외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죠. 말라리아 발생 지역의 주민, 방문자 등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21일 여름철 음식점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식재료 세척법, 음식 조리법, 조리기구 소독 요령 등을 안내했다. 우선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채소류의 경우 염소 소독액(100ppm)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해 손님에게 제공하라고 식약처는 당부했다. 100ppm은 4% 농도 염소 소독액을 약 400배 희석한 수준으로, 소독제 0.1ℓ(종이컵 반 컵)와 물 40ℓ를 섞어서 만들면 된다. 또 음식점에서 육류를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핏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해야 한다. 달걀과 생닭, 다짐육, 냉동 패티 등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하라고 식약처는 전했다. 살모넬라균 등은 열에 약해 완전히 익히면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음식점에서 사용하는 칼·도마는 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열탕 소독 또는 살균·소독제를 활용한 세척도 필요하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각 가정에서도 음식점에서 포장한 음식이나 배달한 음식은 상온에 보관하지 않고 바로 섭취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은 호흡기 감염병인 백일해 환자가 최근 한 달 새 3배 이상으로 늘었다며, 특히 어린이·청소년은 백신을 접종해달라고 강조했다. 같은 기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환자도 1.7배로 증가해 질병청은 오는 24일을 기해 유행주의보를 처음 발령하기로 했다. 21일 질병청에 따르면 6월 셋째 주 백일해 환자는 678명으로 5월 넷째 주(210명)의 3.2배로 늘었다. 최근 4주(5월 넷째 주∼6월 셋째 주)간 백일해 환자는 1천784명이었고, 그중 7∼19세 소아·청소년이 92.8%(1천656명)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 26.7%(477명), 경남 26.2%(467명), 인천 11.8%(210명), 서울 6.2%(110명) 순으로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지난 15일까지 올해 누적 환자는 2천537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유행 이전 백일해가 크게 유행한 2018년(980명)의 2.6배다. 백일해는 발작적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 감염병이다. 100일간 기침을 할 정도로 증상이 오래가기 때문에 백일해라는 이름이 붙었다. 올해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가 크게 유행하면서 사망자도 보고됐다. 영국 잉글랜드에서는 올해 1∼4월 환자 4천793명이
국내 온라인 쇼핑몰과 약국에서 판매 중인 의약외품 마스크 일부 제품의 품질이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3∼5월 보건용 마스크(KF80·94)와 비말차단용 마스크(KF-AD), 수술용(덴탈) 마스크 등 50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5개 제품이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검사 항목은 형상(머리끈 길이), 분진 포집 효율, 안면부 흡기 저항(숨쉬기 편한 정도)과 색소·형광증백제·폼알데하이드 등의 검출 여부였다. 검사 결과 보건용 마스크 4개의 분진 포집 효율이 기준에 미달했다. 일부 제품은 성상과 형상도 부적합했다. 수술용 마스크 1개도 형상이 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밖에 의약외품 용기·포장 등 표시 기재를 점검한 결과 14개 제품이 표시 기준을 위반해 관할 지방식약청에 통보했다. 또 무허가 제조·판매 의심 제품에 대해 지방식약청에 점검을 요청한 결과, 의약외품 제조업 허가와 품목 허가를 받지 않고 제조·판매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시는 덧붙였다. 해당 제품은 약사법 위반으로 고발됐다. 연구원은 보건용 마스크를 구매할 때 '의약외품' 표시가 있는지 확인하고 온라인에서 구매할 경우 사이트에 게시된
국내에서 말라리아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여름이 시작된 가운데 환자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야외활동에 주의가 요구된다. 3일 질병관리청 감염병 포털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100명이다. 이중 지난달에만 66명이 발생했다. 지난 1∼4월에는 34명에 불과했다. 지역별로는 지난 5개월간 경기 61명, 서울 14명, 인천 10명 등 85%가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국내에서 말라리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는 6∼8월 여름철로, 매년 연간 전체 환자의 60%가량을 이 시기에 발생한다. 747명이 발생한 지난해의 경우 6∼8월에 358명이 발생해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여름이 시작되기 전 5개월간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는 지난해 132명(5월 80명·연간 747명), 2022년 42명(5월 30명·연간 420명), 2021년 76명(5월 45명·연간 294명), 2020년 52명(5월 22명·연간 385명), 2019년 63명(5월 38명·연간 559명), 2018년 105명(5월 59건·연간 576명) 등이다. 올해의 환자 발생 추이를 보면 2018년과 비슷하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