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치매 플랫폼 개발…치매 원인 물질 관찰

"타우 단백질 응집 관찰 동물모델 개발…치매 치료제 연구 가속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치매DTC융합연구단 김윤경·임성수 박사 연구팀은 21일 치매 유발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의 응집을 초기 단계부터 관찰할 수 있는 동물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신규 플랫폼을 활용하면 치료제 개발연구를 가속화하고, 새로운 치매 기전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뇌 속의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나 타우 단백질이 응집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은 뇌 기능이 손상되는데 10년 이상이 걸리고 심지어 병변이 나타나지 않는 때도 있어 최근 타우 단백질이 치매의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타우 단백질이 응집되기 시작하면 단백질이 뭉친 형태인 올리고머 형태가 되는데 이는 신경세포 독성을 일으키고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비롯한 다양한 퇴행성 뇌 질환을 전이시키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타우-BiFC 생쥐모델의 뇌에서 노화에 따른 타우 응집 정도 모니터링

[KIST 제공]

 이에 KIST 연구진은 세포에서 타우 올리고머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는 플랫폼인 '타우-BiFC 플랫폼'을 확립해 이를 동물모델로 확장한 '타우-BiFC 생쥐모델'을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신경세포 내에서 타우 단백질이 응집해 올리고머가 형성되면 형광이 켜지는 시스템으로, 타우 응집 초기 올리고머 단계부터 정량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니터링 결과 생쥐가 어린 나이일 때에는 타우 올리고머가 생성돼도 세포 자체적으로 분해·제거하는 시스템이 가동되지만, 나이가 들면 그 기능이 떨어져 타우의 응집이 가속되고 신경이 퇴화하는 특성을 보인다고 KIST 연구진은 설명했다.

 김윤경 박사는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포함한 타우 병증의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시작점"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수행됐고, 연구결과는 신경과학 분야 국제 저널인 '프로그레스 인 뉴로바이올로지'(Progress in Neurobiology) (IF: 10.65, JCR 분야 상위 4.68%) 최신 호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책결정 과정에 의대생도 참여시켜야"…의협 세미나서 주장
이번 대선에 출마한 주요 후보들의 보건의료 공약이 구체성이 떨어지고 정부 개입 확대 등 '큰 정부'를 시사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런 점을 극복하려면 정부가 '지휘'(control)가 아닌 '조율·조정'(coach) 역할을 해야 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 의대생도 참여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의협이 주최한 세미나에서 한 의대 교수의 주장이다. 주효진 가톨릭관동대 의대 교수(한국정책학회 연구부회장)는 27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의협·한국정책학회 공동 기획 세미나에서 대선 후보자의 보건의료 정책 공약 분석·평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주 교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고 국민 참여 공론화위원회를 통한 의료 개혁을 공약으로 제시하며 민주성과 공공성을 강조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윤석열 정부의 의료 개혁을 원점 재검토하고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웠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보건부 독립과 응급의료체계 재설계 등을 공약하고 보건 행정의 전문성과 정부 조직 구조 개편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주 교수는 "그러나 후보자들 공약에는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아주대 "생체환경 내 약물 방출시간·위치 제어기술 개발"
아주대학교는 생체 환경에서 화합물인 '비스하이드록시 트랜스 사이클로옥텐'(C2TCO)을 활용해 약물의 방출 시간과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교내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체내에서 정해진 두 물질끼리만 결합하도록 하는 '생물직교성 클릭 화학' 기술과 연관돼 있다. 아주대 첨단바이오융합대학·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소속 김은하·김욱·유태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해당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방식 가운데 '클릭 투 릴리즈'(click-to-release)라는 기법을 더욱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 기법을 활용하면 설계자가 원하는 반응을 통해 약물이나 형광물질 등을 원하는 시점과 장소에 떨어뜨려 방출할 수 있다. 항체에 약물을 달아 주사한 뒤 이 약물이 암 조직 주변에 도달했을 때 다른 약물을 복약하도록 하면 두 물질이 활성화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과거 이 기법에는 '트랜스 사이클로옥텐'(TCO)을 활용했는데, 연구팀은 이 물질의 개량형인 생체적합성 링커 화합물 '비스하이드록시 트랜스 사이클로옥텐'을 간단하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아울러 이러한 합성 기술을 토대로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