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장 질환, 임신 합병증 위험 높일 수 있다"

 염증성 장 질환(IBD: inflammatory bowl disease)이 임신 합병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주로 소장(크론병)을 표적으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 질환이다. 완화·재발이 반복하며 진행된다.

 미국 미주리 대학 의대 내과 전문의 예자스 구리 박사 연구팀이 2016~2018년 임신한 여성 800여만 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1만4천여 명은 IBD 환자였다.

 전체적으로 임신한 IBD 여성은 임신성 당뇨병 위험이 55%, 임신성 고혈압 위험이 35%, 조산 위험이 41%, 태아 발육 지연(fetal growth restriction) 위험이 27%, 태아 사망 위험이 3.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결과는 연령, 인종, 사회경제적 형편,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음주, 흡연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IBD 여성은 또 출산 후 병원에 머문 시간이 다른 일반 여성보다 평균 반나절 길고 출산 비용도 2천700달러가 더 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BD 여성은 임신 전에 의사와 상의해 공격적 치료로 증상이 완화되는 관해(remission)가 오게 해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대장 질환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무조정실,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 확대 권고
국무조정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는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 약효군을 확대하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특례위원회에 권고했다고 29일 밝혔다. 확대 권고 대상은 현행 11개에서 사전피임제, 수면유도제, 건위소화제, 외피용 살균소독제, 청심원제 등 13개 약효군을 추가한 24개다. 소비자들은 약국 앞에 설치된 일반의약품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통해 약사와 화상통화로 상담·복약 지도 후 일반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지난 2022년 6월 국내에서 규제유예제도(규제샌드박스)로 특례를 부여받아 2023년 3월부터 8대가 운영 중이다. 신산업규제혁신위는 "약효군을 확대하더라도 국민 건강·안전상 우려가 크지 않고, 국민의 의약품 접근성·편의성 및 경증 환자의 응급 의료 혼잡도 개선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다만, 위원회는 한약사가 개설한 약국 앞에 스마트 화상판매기를 설치하는 것은 현행 관리 체계상 불허하기로 권고했다. 아울러 위원회는 반려동물병원 수의사가 동물 진료 목적으로 인체용 의약품을 사용하려고 할 때 약국이 아닌 의약품 도매상으로부터 구매가 가능하도록 실증 특례 부여를 권고했다. 이를 통해 유통 단계를 줄임으로써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동물병원에서 사용되는 인체의약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