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포자 이용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토양서 빠르게 분해"

한미 연구팀 "플라스틱에 박테리아 포자 혼합…물성 향상 효과도"

 자연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가 잘되는 일반적인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달리 제조할 때 플라스틱에 박테리아 포자를 섞어 사용 후 매립된 플라스틱이 빠르게 분해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조너선 포코로스키 교수와 김한솔 박사, 한국화학연구원(KRICT) 노명현 박사팀은 1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플라스틱이 토양과 접촉하면 빠르게 분해되게 도와주는 미생물이 내장된 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속 박테리아 포자는 휴면 상태로 있다가 버려져 매립되는 등 더 필요하지 않게 되면 깨어나서 플라스틱 분해를 돕는다며 이 기술이 전 세계 플라스틱 오염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휴대전화 케이스, 신발, 자동차 부품 등에 널리 사용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폴리우레탄에 적용했다. 폴리우레탄은 뚜렷한 재활용 방안이 없어 수명이 다하면 대부분 매립되고 있다.

 논문 공동 제1 저자인 노명현 박사는 기존 생분해성 폴리우레탄 개발 연구는 기계적 특성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로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 연구는 물성을 훼손하지 않는 생분해성 폴리우레탄 개발을 목표로 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토양에서 발견되는 플라스틱 분해 박테리아인 고초균(Bacillus subtilis) 포자를 플라스틱 가공과정에서 첨가해 땅속처럼 박테리아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이 있는 곳에서 빠르게 분해되는 생분해성 폴리우레탄을 개발했다.

 먼저 고초균 포자가 100℃ 이상 고온인 플라스틱 가공 과정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끓는 물에 넣고 살아남은 것을 선발해 반복 배양하는 인공 유도 진화를 통해 135℃에서도 거의 완벽하게 살 수 있는 고초균 포자를 만들었다.

 이어 고초균 포자를 섞어 생분해성 폴리우레탄을 만든 다음, 이 플라스틱을 퇴비에 들어 있는 영양분과 유사한 환경에 노출하는 실험을 통해 포자가 깨어나 활동하면서 플라스틱이 5개월 만에 90% 이상이 분해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고초균 포자가 첨가된 생분해성 폴리우레탄은 일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비해 인성(toughness)이 37%나 증가하는 등 물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박사는 생분해성 폴리우레탄의 물성 향상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포자의 표면 단백질과 플라스틱 성분 간 화학적 상호작용 등의 요인이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박테리아 포자를 함유한 폴리우레탄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빠르게 분해돼 환경 면으로 유망한 기술이라며 재활용이 불가능한 기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노 박사는 "박테리아 포자를 첨가하는 기술을 다른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확대 적용하고, 포자에 합성생물학 기술을 추가해 특정 환경에서만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개발하는 등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Han Sol Kim et al., 'Biocomposite thermoplastic polyurethanes containing evolved bacterial spores as living fillers to facilitate polymer disintegratio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47132-8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혈액원·적십자병원 노조 오는 24일 18년만에 파업 예고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가 18년 만에 파업 투쟁을 예고했다. 적십자 노조는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임금협상 결렬 후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85%가 파업에 찬성했다며, 24일 보건의료노조 산별 총파업에 맞춰 26개 사업장에서 동시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적십자사는 전국에 15개 혈액원과 7개 적십자병원 등을 운영 중으로, 노조가 파업에 참여하면 2007년 산별 총파업 동참 이후 18년 만이 된다. 5월부터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진행해온 적십자 노조는 ▲ 총액 인건비제도 폐지 ▲ 혈액사업장 노동조건 개선 ▲ 적십자병원 경영 정상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혈액사업장 노동자들은 환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혈액 공급을 한시도 멈출 수 없어 하루 10시간 이상, 밤 11시를 넘겨야 마치는 장시간 노동을 감내해야 한다"며 "헌혈의 집 또한 연간 350일 이상, 평일 20시까지 의무 운영되면서 직원들의 저녁과 주말이 모두 사라졌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올해 사측은 임금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낡은 공공기관 총액 인건비제도 탓에 공무원 임금 인상률조차 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술 때문에 생기는 간 손상 원리, 분자 수준서 처음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음주로 인해 간염이 유발되는 원리를 최초로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와 서울대 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술을 마셔서 생기는 간 손상과 알코올성 지방간염(ASH)의 발생 구조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과도한 음주 시 간의 말초정맥 주변 간세포에서 '소포성 글루탐산(아미노산의 일종) 수송체'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글루탐산이 간세포 내 소포에 축적됨을 확인했다. 글루탐산은 신체 조직에서 세포 간 신호전달, 단백질 합성, 에너지 대사 등에 관여한다. 지나치게 많으면 신경세포가 과흥분돼 세포의 손상과 사멸을 일으킬 수 있는데, 연구팀은 폭음으로 알코올 유입이 계속되면 간세포 내 칼슘 농도 변화에 따라 글루탐산이 급격히 분비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때 분비된 글루탐산은 간에 있는 대식세포(면역세포)인 '쿠퍼세포'의 글루탐산 수용체를 자극해 활성산소 생성을 유도하고, 이는 곧 간세포 사멸과 염증 반응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기존 연구를 통해 장에서 유래한 독소가 쿠퍼세포를 자극해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나, 간세포가 직접적으로 쿠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