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인공혈액 시장, 헌혈자 감소 대안 될까

 저출생으로 인해 위기를 맞은 분야가 있다. 바로 헌혈 시장이다.

 통계청 연령별 헌혈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0대 헌혈자는 50만3천624명으로 집계됐다.

 2013년 10대 헌혈자 수(105만8천704명)의 47.6%에 불과하다.

 20대 헌혈자 역시 2013년 123만1천995명에서 지난해 102만4천621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주목받는 것이 인공혈액이다.

 인공혈액은 혈액을 구성하는 주요 세포인 적혈구와 혈소판 등을 인위적 방법으로 분화, 증식시켜 만들어낸다.

 적혈구는 혈관을 통해 산소를 운반하고, 혈소판은 혈액의 응고를 돕는 세포다.

 현재 기술로는 인간의 혈액과 똑같이 만들 수 없어 인공 적혈구 제제나 인공 혈소판 제제를 기반으로 한 인공혈액이 개발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데이터 브릿지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인공혈액 시장 규모는 2021년 56억 달러(약 7조6천억원)에서 2029년 240억8천만 달러(약 32조8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연평균 20% 성장한다는 이야기다.

 국내에서 인공혈액을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으로는 듀셀바이오테라퓨틱스, 입셀 등이 있다.

 듀셀바이오는 유도만능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등 증식능 및 분화능을 가진 세포를 이용해 수혈 가능한 인공 혈소판을 개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줄기세포를 분화, 성숙시켜 혈소판 생산 세포주를 만들고 이를 통해 인공 혈소판을 만들고 있다. 세포주는 생체 밖에서도 지속 배양이 가능한 세포 집합을 뜻한다.

 듀셀바이오의 줄기세포 기반 인공 혈소판 제조 플랫폼 'en-aPLT™'은 현재 전임상시험에 진입했고 2025년 임상 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다.

 아트블러드는 적혈구가 되기 전 단계의 세포인 적혈구전구세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세포주를 개발했다.

 해당 세포주는 단시간 내 적혈구로 성숙, 분화시킬 수 있고 이를 활용해 원하는 혈액형이나 특징을 가진 적혈구를 생산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아트블러드는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다부처가 지원하는 '세포기반 인공혈액 제조 및 실증 플랫폼 기술개발사업' 가운데 '세포기반 인공혈액(적혈구) 대량생산 공정기술 고도화 과제'에 선정돼 정부 지원금 약 47억원을 수주하기도 했다.

 다만 인공혈액 시장이 성장하는 것과는 별개로 아직 대량 생산을 통한 생산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한 점은 한계로 지목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인공혈액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함과 동시에 당장 혈액 부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헌혈에 대한 보상을 확대하고 인식을 개선해줄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의료기사 업무 범위 확대한 법 개정안에 "국민 생명 위협"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0일 의료기사의 업무 범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두고 "의사의 면허권을 침해하고 국민의 생명·안전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개정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의협이 반대하는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과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 개정안은 현장에서 의료기사가 의사나 치과의사의 '지도' 외 '의뢰'나 '처방'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는 점을 고려해 기존의 '지도'가 아닌 '지도 또는 처방·의뢰'로 의료기사의 업무 가능 범위를 늘렸다. 현행법상 의료기사에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이 있다. 의협은 이 개정안을 두고 "추후 의료기사가 업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도록 업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지도' 외 '의뢰나 처방'만으로도 의료기사가 업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사의 감독·책임 체계를 약화하고 무자격자의 의료행위 가능성을 열어두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의사 면허 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시도이자 의료체계 안정성을 해치는 입법 남용"이라며 "의협은 국민의 생명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