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정協, 2025학년 의대 증원 입장차…정부·의료계 평행선

의료계 "수시 미충원, 정시 이월 말자"…정부 "법적 문제 있어"
2026학년 증원도 이견…"원점 논의해 합의하자" "2027학년부터"

 여야의정 협의체는 17일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 등을 논의했지만, 정부와 의료계 간 이견만 확인한 채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국민의힘 한지아 수석대변인은 국회에서 열린 협의체 2차 전체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2025학년도 의대 증원과 관련해 의료계 주장을 들었고, 정부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을 말했다"며 "의정 간 평행선에 여당 차원에서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료계는 수시 미충원 인원을 정시로 이월하지 않는 방식과 예비 합격자 규모 축소 등을 통해 2025학년도 정원을 조정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의대 지원 학생의 학습 능력 평가에 대한 대학의 자율성 보장도 요구했다. 대학이 학습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의대 지원 학생을 선발하지 않을 자율성을 달라는 취지다.

 정부 측은 또 미충원 인원 이월은 모집 요강에 이미 안내가 됐고, 예비 합격자 규모를 통한 인위적 정원 조정은 법적인 문제가 있다고 맞섰다.

 학습 능력을 이유로 대학이 의대 정원을 조정하는 것도 안 된다는 입장이다. 애초 수시와 정시 모두 수능 최저 기준을 통과한 학생들만 입학하기 때문에 학습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학생이 있을 수 없다는 지적이다.

 협의체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의료계도 2025학년도 정원 조정이 어려운 것을 인정하고 증원 철회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었다"며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들어달라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2026학년도 의대 증원 문제에 대해서도 정부와 의료계는 이견을 보였다.

 정부는 2026학년도 2천명 증원이 예정돼있지만, 내년 5월 말을 시한으로 정원 변경 논의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를 통해 원점에서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 규모를 합의하자는 것이다.

 반면, 의료계는 2026학년도 의대 증원을 유보하고 2027학년도 정원부터 추계위에서 합의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추계위 구성 자체에 대해선 의료계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방향으로 속도를 내기로 했다.

 협의체는 이밖에 사직 전공의 입대 문제에 대해선 정부가 이달 29일까지 진행하는 수요 조사 결과가 나오면 검토하기로 뜻을 모았다. 의대 교육의 질을 평가·인증하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 자율성 보장 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협의체 관계자는 "의료계에서는 다음 주를 협의체가 성과를 내야 하는 '데드라인'으로 보는 것 같다"며 "의대 정원과 관련해 협의체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는 정부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방기선 국무조정실장 등이, 당에서 이만희·김성원·한지아 의원, 의료계에선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과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이사장이 참석했다.

 야당과 전공의 단체는 이번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