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내시경 국가검진 도입될까…시범사업서 '암 씨앗' 44% 검출

복지부·국립암센터 심포지엄…"장천공 발생률 0.01%, 참여자 98%는 '만족'"

  대장내시경의 국가암검진 도입 필요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부가 실시한 시범사업에서 '암 씨앗'인 선종 검출률이 타국의 유사 연구 대비 높은 44%대를 기록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는 18일 서울 중구 정동1928아트센터에서 대장내시경 시범사업 심포지엄을 열고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국립암센터는 2019년부터 올해 3월까지 인구적 요인과 대표성 등을 고려해 경기 고양·김포·파주시의 60개 의료기관에서 만 50∼74세 남녀를 대상으로 2만6천4건의 대장내시경 검진을 시행했다.

 이 중 분석이 완료된 2만4천929건을 기준으로 대장암 검출 건수는 140건, 검출률은 0.56%였다.

 대장 용종(대장 점막 표면이 돌출된 병변) 검출 건수는 1만5천422건, 검출률은 61.86%이었다.

 용종 중 대장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큰 선종 검출 건수는 1만1천44건이었고, 검출률은 44.30%였다.

 암센터에 따르면 이 같은 검출률은 해외 주요국의 유사 시범사업보다 높다.

 타국의 비슷한 시범사업 시행 결과 선종 검출률은 스페인 32.3%, 네덜란드 29.6%, 스웨덴 23.9% 등이었다.

 또한 이번 시범사업에서 합병증 발생률은 대장 천공의 경우 0.01%, 출혈은 0.06%로 스페인(천공 0.02%·출혈 0.24%), 스웨덴(천공 0.01%·출혈 0.09%) 등보다 낮았다.

 대장내시경은 대장암 검사의 거의 최종적 단계인 만큼 시범사업의 양성 예측률은 현재 국가대장암검진에서 1차 검사로 시행하는 분변잠혈검사 방식의 예측률보다 월등히 높다.

 국가암검진 분별잠혈검사의 양성예측률은 2.35%였지만 대장내시경 시범사업의 양성예측률은 91.95%였다.

 민감도는 분별잠혈검사가 59.76%, 시범사업이 96.39%이었고 암 발견율은 분별잠혈 0.09%, 시범사업 0.57%였다.

 한편 대장내시경 시범사업 참여자 중 2만4천339명이 응답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매우 만족'이 2만2천605건, '만족'이 1천248건으로 둘을 합치면 전체의 98.0%였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최신 의료기술의 발전을 반영해 대장암검진 권고안을 개선하고, 대장암 검진 제도를 한층 더 강화해야 한다"며 "(국가암검진 도입) 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적정 의사 수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 완료…내달 초 첫 회의
보건복지부는 31일 향후 의사인력이 얼마나 필요한지 추계하는 독립 심의기구인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을 위촉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을 위해 보건의료 공급자단체, 수요자단체, 학회·연구기관 등 21개 관련 단체·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전문가를 추천받았고, 이 가운데 전문성 등을 고려해 위원 15명을 위촉했다. 15명의 위원 가운데 대한의사협회 등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8명,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등 수요자 단체 추천위원이 4명,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은 3명이다.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라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과반을 차지한다. 수급추계위원장은 추후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 중 호선할 예정이다. 수급추계위원회는 8월 초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중장기 의사 인력 수급추계를 위한 모형, 방법, 가정, 변수 등 구체적인 사항을 본격적으로 논의한다. 향후 위원회 일정 등은 1차 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정한다. 복지부는 위원회 구성·운영을 통해 수급추계의 전문성·독립성·투명성과 추계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의사인력 수급추계는 2027년 이후 의대 정원 결정과 의사인력 정책 수립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