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14일 조간)

▲ 경향신문 = 조성현 "이진우에 의원 끌어내라 지시받아"

▲ 국민일보 = "의원 끌어내라 지시 받은 건 사실"

▲ 동아일보 = 헌재, 尹 탄핵 심판 이르면 3월초 선고

▲ 세계일보 = 尹측 "헌재 위법심리 계속 땐 중대 결심"

▲ 아시아투데이 = 술렁이는 민심…전국서 '尹반탄' 행렬

▲ 일간투데이 = 지방 미분양 줄여 침체 막는다

▲ 조선일보 = 우크라 '빈손 종전' 서두르는 트럼프

▲ 중앙일보 = 600만원짜리 금돼지 이젠 줄서야 삽니다

▲ 한겨레 = 트럼프-푸틴, 우크라 빼고 종전 협상한다

▲ 한국일보 = 美·러 우크라戰 종전협상, 서방 가치동맹 균열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미분양 털어 건설 살린다 DSR 유예·취득세 감면

▲ 디지털타임스 = 염불보다 잿밥… 野 대선용 '35조 추경'

▲ 매일경제 = 추경 '편성'까지 35조 내민 巨野

▲ 브릿지경제 = TV홈쇼핑 'TV 탈출' 모바일 라방 힘준다

▲ 서울경제 = SK이노 '화학 재편' 지오센트릭 떼낸다

▲ 아시아타임즈 = 정치·경제 대격변기 역할론 커진 최태원

▲ 아주경제 = 힘 빠진 경제… 작년과 같은 물가 상승률에도 'S의 공포'

▲ 에너지경제 = 中공세 무섭다…K-프리미엄 시장 '위기'

▲ 울산경제 = 울산과학화예비군훈련장 개소… "예비전력 정예화"

▲ 이데일리 = SK 'Al칩 게임체인저' 내달 양산

▲ 이투데이 = "국가빚 늘고 정국불안" 한국 신용등급 시험대

▲ 전자신문 = 삼성·LG 가전, 美 사이버보안 인증 촉각

▲ 파이낸셜뉴스 = 우크라戰 끝 보인다… 1300조 재건사업 꿈틀

▲ 한국경제 = 우크라 종전 협상 착수 … 재건株 '들썩'

▲ 전국매일신문 = 野, 35조 규모 '슈퍼추경' 제안… 與 "李 대선용 포퓰리즘"

▲ 경기신문 = 尹의 마지막 변론?… 헌재, 18일 '추가 기일' 지정

▲ 경기일보 = 100년史 곡예 '동춘서커스'… 쇼는 계속된다

▲ 경인일보 = 경험치 쌓인 은행들, 농협 아성 넘본다

▲ 기호일보 = 유정복 시장 대선 드라이브 본격 시동

▲ 신아일보 = 尹 "반주 즐겨 안다, 홍장원 술마셨더라"

▲ 인천일보 = 끊이지 않는 어선사고 인천 어민들을 지켜라

▲ 일간경기 = 김동연 "이재명의 민주당이 아닌 '더 큰 민주당' 건설"

▲ 중부일보 = 중대형병원 유치·인프라 설계 도민 살리고 지역경제 살린다

▲ 현대일보 =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분담률 개선을"

▲ 강원도민일보 = 동해선 한달 70만명 탔다… 도 관광·산업지도 재편

▲ 강원일보 = 짙어진 불황의 그늘 경매 매물 쏟아진다

▲ 경남도민신문 = '전국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경남 본격 레이스 돌입

▲ 경남도민일보 = '낮엔 홍합 따고 밤엔 법전 펴고' 주경야독 4년 만에 박사모

▲ 경남매일 = 도내 18개 시군간 1시간대 오간다

▲ 경남신문 = 경남 1시간대·수도권 2시간대 교통망 만든다

▲ 경남일보 = 통합 불발 속 여전히 불씨는 남아

▲ 경북매일 = 재건축 북포항우체국 '시민 만남의 공간' 조성을

▲ 경북신문 = 포항·광양·당진, 철강산업 위기 공동 대응… 정부 지원 촉구

▲ 경북일보 = "대구 군부대를 품어라"…상주·영천·군위, 유치전 후끈

▲ 경상일보 = 울산 국가산단 공업용수 확보 '난항'

▲ 국제신문 = 금값 폭등에… 金 사려는 이도 팔려는 이도 없다

▲ 대경일보 = 포항-광양-당진 '철강 관세폭탄' 공동전선

▲ 대구신문 = 野 "35조 추경" 與 "대선용 매표" 충돌

▲ 대구일보 = 의대 정원 '동결' 고려 2024년 전으로 돌린다

▲ 매일신문 = 증언 엇갈려도…헌재, 속도전 밀고가나

▲ 부산일보 = '자율상권' 날개 단 하단오거리, 핫플로 다시 뜬다

▲ 영남일보 = 대구 시내버스 적자 2년간 726억 줄였다

▲ 울산매일 = UNIST, 울산 성장동력 모색 '미래혁신연구원' 설립 시동

▲ 울산신문 = 울산시 中企투자도 행정지원 나선다

▲ 울산제일일보 = 대기업처럼 '中企 인·허가'도 단축한다

▲ 창원일보 = 경남도, "도내 1시간대ㆍ수도권 2시간대 시대 연다"

▲ 광남일보 = 담양군수 재선거 4월 2일 치른다

▲ 광주매일신문 = 주말 광주 도심 '尹 탄핵' 찬반 대규모 집회 긴장 고조

▲ 광주일보 = "금남로서 극우집회 웬말" 광주 시민 '방어선' 친다

▲ 남도일보 = 주말 광주 도심서 尹탄핵 찬반 집회…긴장 고조

▲ 전남매일 = 내일 금남로서 윤 탄핵 찬·반 집회…지역사회 긴장 고조

▲ 전라일보 = 농도 전북 '농협중앙회 유치' 선제 대응 필요

▲ 전북도민일보 = 농협본사 지자체 쟁탈전 가열 조짐

▲ 전북일보 = '완전 통합' 가는 길 첫걸음

▲ 금강일보 = '늘봄학교 불안감' 어떻게 잠재울텐가

▲ 대전일보 = 정신질환 앓는 교사, 교단 쉽게 못 선다

▲ 동양일보 = 충북대 의대 내년 신입생 못 뽑나… 증원심사 '불인증 유예'

▲ 중도일보 = 속도 못내는 현충원 하이패스 IC 신설… 정상추진 '먼 길'

▲ 중부매일 = '안전 낙제점' 제천 옛 청풍교 관광개발 무리수

▲ 충남일보 = 교원 정신질환 검증 시스템 강화 '하늘이법' 구체화 속도

▲ 충북일보 = '빨간불' 켜진 충북대 의대

▲ 충청도민일보 = 개헌론 뜨는데 '원저작자' 충청권은 침묵모드

▲ 충청매일 = 충북도 "제천 청풍교 관광명소화 추진"

▲ 충청신문 = 지역 교육계 잇단 사건·사고… 대전시교육청 대처 '도마위'

▲ 충청일보 = 충북대 의대, 내년 신입생 못 받나

▲ 충청타임즈 = "정치인들 자기 잘못 무엇인지 알면 희망 있을텐데…"

▲ 삼다일보 = '허니열풍' 때 8만군 넘던 꿀벌 기후위기로 5만군까지 줄어

▲ 제민일보 = 쿠팡 제주유통 잠식 '브레이크'가 없다

▲ 제주매일 = "도민들 벼랑 끝인데, 도정은 뜬구름 잡는 이야기만"

▲ 제주일보 = 손해배상 받을 수 있는 길 열려

▲ 한라일보 = 구조신고 속 비명… 10초 만에 신호 두절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 속 의사·한의사 '영역 다툼'도 격화…"공개 토론하자"
의정 갈등과 의료 공백 사태 속에서 의사와 한의사 간 영역 다툼도 심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의사들이 의료 공백을 악용해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한방 치료의 효과 등을 주제로 대국민 공개 토론회를 하자고 한의계에 제안했다. 박상호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장은 "한의계는 정부의 일방적 의대 증원 사태로 촉발된 의료 공백을 악의적으로 이용해 필수·공공의료 분야에 한의사를 활용하라는 등 얄팍한 주장을 거듭하고 의과 영역 침탈을 노리고 있다"며 "경찰이 부족하다고 경비원에게 수갑을 쥐어 줄 건가. 판·검사가 부족하다고 사법고시 강사가 재판을 보게 할 건가"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의과 진단·검사기기를 사용하고 싶다면 의사 면허나 방사선사, 임상병리사 자격증이라도 따시라"며 "면허는 종이쪼가리가 아니라 생명에 대한 책임이다. 의과 진료 따라잡기와 어설픈 의학 흉내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재만 부위원장은 ▲ 한의사의 방사선·초음파 기기 사용 ▲ 리도카인 등 의약품의 무분별한 사용 ▲ 한방난임지원사업 ▲ 한의사의 치매 진단서·소견서 발급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건강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검찰, 3개 중견 제약사 수사…'전공의 리베이트' 관련
전공의들의 리베이트 수수 의혹 담당 검찰이 3개 중견 제약사를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지난달 중순부터 혈액제제 전문기업 A사와 진통제 분야 중견 제약사 B사, 안과 의약품 특화 제약사 C사 3곳을 약사법 위반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이들 중 일부 제약사는 2021년 리베이트 제공으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대형 병원 여러 곳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D학원도 의료법 위반 혐의로 수사 대상에 포함됐다. 아울러 의사와 제약사 직원 등 8명도 각각 의료법 위반·배임수재 또는 약사법 위반·배임중재 등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이 중 일부는 뇌물을 준 경우에 적용되는 배임중재 혐의 외에도 약사법 위반, 업무상 배임, 사문서위조, 위조 사문서 행사 등 여러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앞서 서울 노원경찰서는 2019년부터 수년간 제약회사 직원들로부터 '제품 설명회'를 빌미로 회식비를 제공받은 혐의로 작년 11월 서울 한 대학병원 전공의 출신 의사들과 제약사 직원들을 불구속 송치했다. 노원경찰서는 2023년 7월 이 사건을 무혐의 처분했으나 서울경찰청의 재조사 지휘를 받고 다시 조사에 착수했고, 수사 과정에서 이번 사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