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 2분기 영업손실 374억원…"외형 확장·R&D 투자 지속"

  코스피 상장사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37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199억원)와 비교해 적자 폭이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최근 공시했다.

  매출은 1천61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504.5% 증가했다. 순손실은 168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됐다.

 매출 확대는 지난해 10월 인수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IDT바이오로지카의 실적 편입과 자체 개발 백신 매출 호조에 따른 결과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또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가 2분기 중반부터 납품을 시작해 3분기부터 매출 인식이 예상된다고 회사는 덧붙였다.

 이외에도 올해 국내 공급을 시작한 사노피 유통 제품인 6가 혼합백신 '헥사심', 영아용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항체주사 '베이포투스'도 실적 확대를 본격화하고 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이밖에 지난해 1천억원 이상 R&D에 투자한 데 이어 올해는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회사는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하반기 독감백신 및 RSV 예방항체주사 등의 계절 수요 확대와 IDT의 CDMO 사업 확장 등을 통해 외형 확장 및 실적 개선을 지속하고 중장기 성장 전략도 가속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의료 '복합위기' 직면…국책연구기관, 시스템 붕괴 경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가 의사 인력의 불균형, 왜곡된 의료 전달체계, 불공정한 보상 구조라는 삼중고에 직면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시스템 붕괴라는 연쇄적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종합 진단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24시간 의료 길잡이' 서비스 도입과 같은 구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며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26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 보건의료는 개별적 문제가 아닌 여러 위기가 중첩된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보고서가 지적한 위기의 핵심은 의료인력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2024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충원율을 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6.2%, 심장혈관흉부외과는 38.1%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반면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소위 '인기 과목'은 100% 충원율을 기록하며 의사 인력이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외면하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지역 간 의료 격차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수도권의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