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5일 조간)

▲ 경향신문 = "10조 투입, AI 고속도로 깔겠다"

▲ 국민일보 = "AI 선도 땐 무한한 기회 하루 지체, 한 세대 뒤져"

▲ 서울신문 = 李 "박정희처럼 AI 고속도로 깔겠다"

▲ 세계일보 = 李 "AI 고속도로 깔아 성장의 미래 열 것"

▲ 아시아투데이 = "AI시대 여는 첫 예산… 인재·인프라 집중투자"

▲ 일간투데이 = 연기금 역사 다시 썼다 올해만 200조원 '잭팟'

▲ 조선일보 = "박정희·DJ처럼 AI 고속도로 깔겠다"

▲ 중앙일보 = "AI시대 첫 예산, 새 100년 준비"

▲ 한겨레 = "AI 시대 여는 대한민국 첫 예산"

▲ 한국일보 = "AI시대 여는 첫 예산" 李, AI 28번 외쳤다

▲ 글로벌이코노믹 = 삼성·SK '글로벌 AI 왕좌' 다툰다

▲ 대한경제 = 내년 건설수주 231兆… 민간 침체 심화

▲ 디지털타임스 = 李대통령 "AI 고속도로 깔겠다"

▲ 매일경제 = 진격의 삼성 갤럭시 … "내년 130조 매출"

▲ 브릿지경제 = 中 직구 플랫폼 테무, 韓 판매자들 직판장 됐다

▲ 서울경제 = 李 "AI시대 첫 예산…새 100년 출발점"

▲ 아시아타임즈 = 정비사업 숨통 죄는 '이중 규제'…"내년 공급 공백 온다"

▲ 아주경제 = 정부 '위기에 빠진 철강산업' 체질 개선 나선다

▲ 에너지경제 = 철강산업, '고부가·저탄소'로 구조조정

▲ 이데일리 = "24시간 라인 돌려도 메모리 주문 감당 안돼"

▲ 이투데이 = 유커 몰려오고 한한령 해빙… 면세점이 살아난다

▲ 전자신문 = 'HBM4 판도' 바뀐다 SK·삼성 공급 초읽기

▲ 파이낸셜뉴스 = 李대통령 "10조 투입… AI 고속도로 깔겠다"

▲ 한국경제 = 5년前 '영끌 주담대' 이자폭탄 덮친다

▲ 전국매일신문 = 李대통령 "AI 대전환에 10조… 절체절명의 생존 위기"

▲ 경기신문 = 정치1번가 수원 민심 향배는? 개혁·안정·세대교체 삼파전

▲ 경기일보 = 싱가포르·말레이… K-기업, 新시장서 미래 개척

▲ 경인일보 = 용인 반도체단지 '공사 피해 보상' 갈라진 원삼면

▲ 기호일보 = 교육의 한 축 담당해도 비정규직… 방학하면 실업자

▲ 신아일보 = 李대통령 "AI 고속도로 구축해 미래 열어야"

▲ 인천일보 = 내년도 市 살림 '15조3129억' 민생 안정·AI 산업 육성 초점

▲ 일간경기 = 경기도 여·야·정 상생 본보기 보였다

▲ 중부일보 = 경기도 '통큰세일' 지원금 민간앱 OK·공공앱은 NO

▲ 현대일보 = 인천시, 내년 예산 2.5% 늘어난 15조3129억 편성

▲ 강원도민일보 = 두타연 규제 풀리고 강릉 바이오 산단 속도 낸다

▲ 강원일보 = 28억 땅을 고작 14억에 '헐값 매각'

▲ 경남도민신문 = "남강댐 방류 도민 피해 최소화 해야"

▲ 경남도민일보 = '맘스프리존' 어떻게 쓸지 못 정하고 놀리는 창원시

▲ 경남매일 = "정부 주도사업 지방 부담 완화해야"

▲ 경남신문 = "지역이 성장 중심…지방우대 재정 원칙"

▲ 경남일보 = "'우주항공 특별법' 당이 적극 나서달라"

▲ 경북매일 = "철강관세 폭탄 대응책 마련을" 포항·광양·당진 공동 요구

▲ 경북신문 = 플라스틱 대체 '꿈의 소재', 경북 셀룰로오스 센터 준공

▲ 경북일보 = '동북아 AI 허브' 경북이 뜬다

▲ 경상일보 = 정부의 구조조정 재촉에도 속도 못내는 울산 석화업계

▲ 국제신문 = 문화명소로 떴는데… '창비부산' 안타까운 폐점

▲ 대경일보 = 철강 설비 줄이고 그린 전환 가속화

▲ 대구신문 = "박정희·김대중처럼 AI 고속도로 깔겠다"

▲ 대구일보 = "공공기관 대구로 모셔라" IBK·공항공사 등 유치 밑그림

▲ 매일신문 =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 부산일보 = '글로벌 도시' 부산 이주민에겐 여전히 '고달픈 도시'

▲ 영남일보 = "당보다 지지율 크게 낮은 단체장 공천 배제"

▲ 울산매일 = "옥동 구간 혼잡 해소 문수로 우회로 시급"

▲ 울산신문 = "AI고속도로 구축 미래성장 열어야"

▲ 울산제일일보 = 울산해양산악레저특구 지정 해냈다

▲ 광남일보 = 'AI 심장' 광주·전남 "GPU 확보하라"

▲ 광주매일신문 = "AI 시대 여는 대한민국 첫 예산" 신속 대응 역설

▲ 광주일보 = 2000개 섬·섬·섬… 'K 관광 시대' 전남이 선도한다

▲ 남도일보 = 'AI 컴퓨팅센터' 호재…전남 서부권 부동산 '꿈틀'

▲ 전남매일 = 이 대통령 "내년 예산안 '지방우대 재정 원칙' 도입"

▲ 전라일보 = '5극 3특' 시대 전환 지방우대 재정 도입

▲ 전북도민일보 = 전북-충남 '가깝지만 먼' 상생발전

▲ 전북일보 = 정치권, 선거전 잠시 멈추고 다시 원팀

▲ 금강일보 = 불 지펴진 정년 연장 … 고령 생계 vs 청년 기회 충돌

▲ 대전일보 = 대전·세종·충북 잇는 CTX 충청권 초연결시대 가시화

▲ 동양일보 = '예산전쟁' 국회 예결위 심사… 충청권 내년 국비확보 사활 세종 1.7조·대전 4.7조·충북 9.5조·충남...

▲ 중도일보 = 대전·세종·충북 30분대… '충청권 CTX' 첫 관문 넘었다

▲ 중부매일 = 청주도심 구간 지하화 CTX 2028년 착공

▲ 충남일보 = 대전-세종-충북 CTX '첫 관문' 민자 적격성 통과

▲ 충북일보 = 청주도심 '지하철 시대' 열린다

▲ 충청매일 = 충청권 CTX 민자적격성 통과 청주도심 '지하철 시대' 초읽기

▲ 충청신문 = 충청 광역급행철도 'CTX' 민자사업 확정…2028년 착공

▲ 충청일보 = '대전-세종-충북 30분대 연결'… CTX 민자적격성 통과

▲ 충청타임즈 = '청주 지하철 시대' 열린다… CTS 사업 본궤도

▲ 삼다일보 = 제주형 건강주치의 초반 주민 참여 '미지근'

▲ 제민일보 = 허술한 해상경계, 마약 확산 비상

▲ 제주매일 = 갈등·분열만 남긴 제2공항…정부 무책임에 해군기지 전철 밟나

▲ 제주일보 = 초고령사회 진입 임박했다

▲ 한라일보 = 늙어가는 제주, '초고령사회' 눈앞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도화 눈앞 비대면진료…"영리 플랫폼 아닌 공공 주도 필요"
현재 진행 중인 비대면진료(원격의료) 제도화 논의가 민간의 영리 플랫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공공 플랫폼을 마련하는 등 공공 주도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건강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의 정형준 정책위원장(원진녹색병원 원장)은 지난 4일 국회에서 열린 '영리 플랫폼 중심 원격의료 법제화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에서 "산업계와 민간 자본이 아닌 국민을 위한 원격의료가 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비대면진료는 코로나19 시기 의료 접근성 개선을 위해 한시적으로 허용한 뒤 현재 시범사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제도화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국회엔 관련 의료법 개정안이 총 7건 발의돼 있으며, 연내 통과가 점쳐진다. 무상의료운동본부와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이수진, 서영석, 전진숙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공동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정 위원장은 "한국의 원격의료 도입과 시범사업은 의료기기·정보통신업체 등 산업계가 주도권을 쥐고 있다"고 꼬집었다. 미국과 유럽 등 대부분 국가에선 환자의 편의성, 접근성 향상을 위해 원격의료가 고안·발전됐으나 우리나라에선 '산업 육성' 관점에서 추진됐고 경제계에서도 규제 개혁 과제 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 비만·거북목…AI 예측 스마트폰 중독 인류의 25년 뒤 모습
소파에 계속 앉아 일하고 먹고, 의미 없이 스마트폰을 스크롤 하며 장시간을 보내는 인류의 25년 뒤 모습은 어떨까. 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체가 챗GPT를 활용해 현대인이 현재의 생활 습관을 유지할 경우 2050년 어떤 모습일지를 상상해봤더니 그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미국의 일간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걸음 수 추적 앱 '위워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활동 부족·스마트폰 중독 현대인의 25년 후 모습인 '샘'을 공개했다. 위워드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관련 자료를 수집해 챗GPT에 프롬프트로 입력한 뒤 샘의 모습을 도출했다. 샘은 오랜 좌식 생활로 인해 열량 소모가 적고 신진대사가 느려져 배에 지방이 쌓여 복부 비만인 모습이다. 장시간 앉아 오랜 시간 구부정한 자세로 스마트폰을 봤기 때문에 머리가 앞으로 기울어지고 상체는 굽은 거북목이다. 엉덩이와 무릎 등 다른 관절도 뻣뻣한 데다 혈액순환이 안 되면서 발목과 발은 퉁퉁 부어있다.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한 안구는 건조하고 충혈됐고, 눈 아래에는 다크서클이 있다.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로 피부는 탄력을 잃고 과도하게 색소가 침착된 모습이 다. 좌식 생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