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美 암치료제 개발사 투자…바이오 투자액 5천만달러 넘어

mRNA 치료제 개발사 스트랜드 테라퓨틱스 시리즈B 투자자 참여
올해 투자액 40% 증가…미래사업 시너지 위한 전략적 투자 확대

  LG가 미국 암 치료제 개발사 지분을 확보하며 바이오 산업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3일 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LG는 최근 '스트랜드 테라퓨틱스'의 시리즈B(사업 개발 본격화 단계) 투자자로 참여했다.

 스트랜드 테라퓨틱스는 미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에 본사를 둔 메신저 리보핵산(mRNA) 치료제 개발사다.

 LG는 자사 벤처캐피털 LG테크놀로지벤처스를 통해 이번 투자에 참여했다.

 이로써 LG테크놀로지벤처스의 바이오 분야 누적 투자 금액은 5천만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말까지 3천500만달러였던 투자액은 올해 들어 1천500만달러가 추가되는 등 7개월 만에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LG는 미래 사업으로 ABC(AI·바이오·클린테크) 분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이들 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희귀 비만 치료제 개발사 '아드박 테라퓨틱스'에 대한 두 번째 투자에 나섰다.

 미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이 회사는 식욕 억제를 통해 대사 질환을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 중이다.

 현재 주요 치료제 후보에 대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으로, 2027년 임상시험 결과에 따라 식품의약국(FDA) 승인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도 LG는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업 '에티온', 디지털 청진기를 활용한 심장·폐 질환의 조기 발견 설루션을 보유한 '에코 헬스', 세포 치료제 개발 기업 '아셀렉스' 등에 투자했다.

 바이오 영역에 AI를 연계하는 연구개발(R&D)도 강화하고 있다.

 LG AI연구원은 이달 초 1분 만에 암 진단이 가능한 AI 모델 '엑사원 패스 2.0'을 공개했다.

 엑사원 패스 2.0은 유전자 변이와 발현 형태, 인체 세포와 조직의 미세한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예측함으로써 기존에 2주 이상 걸리던 유전자 검사 시간을 크게 단축, 암 환자의 치료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LG AI연구원은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서 미국 내 최상위 의료 연구기관인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 센터의 황태현 교수 연구팀과 세계 최고 수준의 멀티모달(Multi-modal) 의료 AI 플랫폼 개발에 나섰다.

 구광모 LG 대표는 올해 신년사에서 "혁신 신약으로 사랑하는 사람들과 보다 오래 함께할 수 있는 미래에 도전한다"며 고객의 삶을 변화시켜주는 기술로 AI와 바이오를 꼽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대교육 정상화까진 먼길…부실교육 우려속 학칙변경 특혜 논란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가 가시화하면서 1년 반을 끌어온 의정 갈등이 해소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대규모 유급 의대생의 교육 정상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보인다. 2학기 복귀하는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로 못 들은 1학기 수업을 여름방학 등을 이용해 압축해 온라인 등으로 진행하기로 하면서 부실 교육 우려가 나오는 데 더해 특혜 논란도 지속하고 있다. ◇ 유급 의대생 여름방학 이용 압축 수업…24·25학번 '더블링' 현실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1학기 수업을 거부하며 유급 대상이 된 의대생 8천명은 2학기 들어 수업에 복귀한다. 교육부는 의대가 있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의 건의를 받아들여 학칙을 변경하는 특혜 논란 속에서 의대생들이 2학기 수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난달 허용했다. 전국 의대들은 복귀 의대생들이 1학기 미이수 학점을 이수하도록 여름방학을 이용해 이달 초부터 계절 학기를 본격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한 학기 수업을 여름방학과 주말, 야간 등을 이용해 압축해 대면과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교육의 질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경희대 의대는 최근 1학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다이어트엔 최소가공식품…체중 감량효과 초가공식품의 2배"
열량을 포함해 영양상으로 비슷한 식단이더라도 최소가공식품(MPF)을 선택하면 초가공식품(UPF)을 섭취할 때보다 두 배의 체중 감량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새뮤얼 디킨 박사팀은 7일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성인 55명에게 한 8주간 번갈아 가며 최소가공식품과 초가공식품을 먹게 하는 무작위 교차 임상시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실제 생활 조건에서 초가공 식품과 최소가공 식품 식단의 영향을 비교한 첫 개입 연구라며 이 결과는 식단의 가공 수준을 줄이는 것이 장기적으로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세계적으로 과체중 또는 비만인 사람은 약 30억 명에 이르고, 이는 비감염성 질환과 조기 사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히며, 이런 문제의 한 원인으로 초가공 식품 섭취 증가 등 최근의 식품 환경 변화가 제기돼 왔다. 연구팀은 영국에서는 에너지 섭취의 50% 이상이 초가공식품에서 비롯된다는 보고가 있고 초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개입 요구가 나오고 있으나 이에 대한 논의는 답보상태라고 지적했다 이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