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약사법 개정안 대응해 '불법 대체조제 피해신고센터' 개소

"사실 확인 등을 거쳐 피해 구제 위한 법적·행정적 조치할것"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불법 대체 조제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안전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불법 대체 조제 피해신고센터'를 개설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한 약사법 개정안과 관련한 것으로, 개정 약사법은 약사가 처방된 약을 동일 성분의 다른 약으로 대체해 조제할 때 의사에게 통보하는 절차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의협은 대체 조제가 의사의 처방권을 침해하고 의약분업의 원칙을 훼손한다고 지적해왔다. 특히 환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대체 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게 의협의 입장이다.

 의협은 신고센터 개소와 함께 대국민·대회원 캠페인을 벌여 불법 대체 조제의 위험성을 알리고 적극적인 신고 참여를 독려할 방침이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대체 조제 과정에서 환자 동의 절차가 무시되거나 불법적인 관행으로 환자 안전이 위협받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이 문제는 단순히 의약품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약사법 개정안 대응해 '불법 대체조제 피해신고센터' 개소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불법 대체 조제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안전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불법 대체 조제 피해신고센터'를 개설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한 약사법 개정안과 관련한 것으로, 개정 약사법은 약사가 처방된 약을 동일 성분의 다른 약으로 대체해 조제할 때 의사에게 통보하는 절차를 간편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의협은 대체 조제가 의사의 처방권을 침해하고 의약분업의 원칙을 훼손한다고 지적해왔다. 특히 환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대체 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게 의협의 입장이다. 의협 신고센터는 앞으로 피해 사례를 접수하고, 사실 확인·위법 여부 판단 등을 거쳐 피해 구제를 위한 법적·행정적 조치를 할 계획이다. 의협은 신고센터 개소와 함께 대국민·대회원 캠페인을 벌여 불법 대체 조제의 위험성을 알리고 적극적인 신고 참여를 독려할 방침이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대체 조제 과정에서 환자 동의 절차가 무시되거나 불법적인 관행으로 환자 안전이 위협받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이 문제는 단순히 의약품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안전한 정맥 주삿바늘 개발…체내에서 부드러워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로 정재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를 선정했다. 정 교수는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 바늘을 개발해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는 등 착용형·체내 삽입형 전자소자·의료기기 융복합 연구로 헬스케어 혁신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았다. 정맥주사는 혈관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는 치료 방법으로 의료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기존 정맥주사 바늘은 딱딱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돼 혈관 벽 손상, 정맥염 같은 합병증, 의료 종사자 찔림 사고 등의 위험 우려가 있다. 정 교수는 액체 금속 갈륨이 체온에 반응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특성을 활용, 상온에서 딱딱한 상태였다가 체내에 삽입되면 생체 조직처럼 부드러워지는 가변강성 주삿바늘을 개발했다. 이 주삿바늘은 삽입 상태에서도 환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사용 후 상온에서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해 의료 종사자의 바늘 찔림 사고를 예방하며, 비윤리적인 주삿바늘 재사용 문제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표지논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