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AI 의료 기술(CG)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939/art_17586623357731_1292fc.jpg?iqs=0.8467866387847909)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해외로 진출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의료 기술은 병원정보 시스템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ICT 기반 의료시스템 해외 진출 지원 사업에는 2016년부터 올해까지 총 40개 기업과 13개 의료기관이 참여했다.
해외 진출 지원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보건산업진흥원은 보건복지부와 함께 2016년부터 지원 사업을 해오고 있다. 올해 기준 연간 예산 범위 내에서 해외 진출 프로젝트를 7∼9개 선정해 프로젝트당 2억∼3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공]](http://img8.yna.co.kr/etc/inner/KR/2025/09/23/AKR20250923137100530_01_i_P4.jpg)
사업 참여 기관은 2016년 5곳에서 2023년 15곳으로 3배가 됐고, 올해도 12곳이 참여했다.
해외 진출 지원을 받은 의료시스템은 병원정보 시스템(43.3%), 원격의료 시스템(25.4%), 인공지능(AI) 진단 보조 시스템(20.9%), 모바일 헬스 시스템(10.4%) 순으로 많았다.
연도별로 보면 사업 초기인 2016∼2019년에는 대체로 원격의료나 병원정보 시스템의 해외 진출 사례가 많았지만, 이후에는 AI 진단 보조 시스템, 모바일 헬스 시스템 등의 비중이 점차 커졌다.
지금까지 해외 진출 프로젝트가 많은 나라는 미국(11개), 우즈베키스탄(9개), 베트남(8개), 인도네시아(6개) 등의 순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공]](http://img9.yna.co.kr/etc/inner/KR/2025/09/23/AKR20250923137100530_02_i_P4.jpg)
이 가운데 베트남에 진출한 AI 내시경 위암 검진 서비스는 지원 사업 기간에 하노이 거점 의료기관과 협력해 현지 실증을 마치고, 그에 따라 현지 인허가도 획득했다.
지원 사업이 끝난 뒤에도 의료기관에 솔루션(전산 시스템)을 지원해 3년 만에 공급 계약을 통해 수출 성과를 냈다.
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헬스사업단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다른 산업과 달리 해외 진출에 복잡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며 "국가별로 생태계와 보상 체계가 달라 상용화 이후 실질적인 성과 창출까지 장기간이 걸리므로 국내외에서 서비스 수용성과 임상 유효성이 검증된 제품·서비스를 발굴하는 등 장기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자 관련 예산을 올해 160억원에서 내년 502억원(정부안)으로 3배가량 늘려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