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에 문여는 병원·약국 응급의료포털서 확인…중증은 119상담

주요 포털에서 '응급' '응급실' 등 검색하면 응급의료포털 안내

 추석 연휴 갑자기 몸이 아파 병원에 가야 한다면 응급의료포털에서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확인하고, 가까운 동네 병의원을 방문하면 된다.

 다만 중증으로 의심되거나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119로 신고해 상담받는 게 좋다.

 보건복지부는 2일 장기간의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이 같은 내용의 연휴 기간 의료기관 이용 방법을 안내했다.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 지역응급의료센터 137곳, 지역응급의료기관 232곳 등 응급의료기관 413곳은 연휴 내내 24시간 운영한다.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정보는 응급의료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응급', '응급실', '문 여는 병원', '응급의료' 등을 검색하면 응급의료포털을 안내해준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이나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응급 상황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응급똑똑앱은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바탕으로 관련 지침을 제공하는 앱이다. 중증일 경우 응급실 방문을 안내하고, 경증이면 가까운 병의원을 우선 방문하게 하거나 스스로 할 수 있는 응급처치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 위치 정보를 파악해 가까운 병의원, 달빛어린이병원, 응급실 등도 알려준다.

 12세 이하 소아 환자가 있는 경우에는 전문의료인이 24시간 상담을 제공하는 소아전문상담센터 아이안심톡을 이용하면 된다.

 아이안심톡은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기반으로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119 신고나 의료기관 이용을 권하고, 상담으로 가능한 경우에는 일대일 게시판에 문의케 한다.

 일대일 문의에서 의료인은 소아 환자의 현재 증상, 과거 병력을 바탕으로 집에서 가능한 처치, 상비약 이용 안내, 추후 증상 변화에 따른 추가 조치 등을 게시판 답글 또는 전화로 안내한다.

 다만 호흡곤란이나 갑작스러운 팔다리 저림, 혀가 마비돼 말이 하기 어려운 경우 등 중증 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심각한 증상이 있다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119 상담을 통해 증상에 대해 상담받을 수 있고, 119 구급대의 중증도 판단에 따라 적합한 병원으로 바로 이송이 가능하다.

 증상에 대해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119로 신고하면 의학적인 상담이 가능하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