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전문의 업무 중 11∼20%만 전공의 교육에 할애"

의협 연구원 "전공의 교육 위한 시간·보상 등 제도적 지원 필요"

 수련병원에서 전공의 수련을 지도하는 지도전문의들 다수는 전공의 교육에 할애하는 시간이 전체 업무의 20%에 못 미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은 최근 '지도전문의 교육역량 실태조사' 보고서를 내고 지난 5월 지도전문의 8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등을 인용해 지도전문의 역량 강화 방안을 제안했다.

 지도전문의는 '전공의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전공의법)에 따라 병원장 지정으로 전공의 수련을 지도하는 전문의를 가리킨다.

 전공의 교육 전념도도 낮아서 응답자 중 40.7%가 전체 업무 중에 전공의 교육에 할애하는 정도가 11∼20% 수준이라고 답했다. 0∼10%라는 응답도 21.0%로, 과반수가 전체 업무의 20% 미만을 전공의 교육에 할애하고 있었다.

 전공의와의 면담이나 상담 활동도 대부분 비공식적으로 자발적으로 수행되고 있었다.

 이는 "교육에 필요한 시간과 행정적 지원의 부족을 반영하며, 교육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구조적인 제약이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연구진은 효과적인 전공의 교육을 위한 교수법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 설계 등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전공의 교육을 위한 시간 확보, 교육활동에 대한 보상 및 진료업무 경감 등 제도적 장치가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전공의 수련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9월부터 지도전문의 역할을 세분화하고 수당을 지원하는 내용 등을 포함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대동맥류 환자, 10여년새 3배로…"스텐트시술 생존율 높여"
대표적 노인성 혈관 질환인 복부 대동맥류(AAA) 환자가 최근 10여년 사이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복부 대동맥류 환자는 2010년 4천148명에서 2022년 1만3천169명으로 약 3.2배로 늘어났다고 25일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배 속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 일부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대동맥이 파열되면 대량 출혈로 생명을 잃을 수 있어 '조용한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주요 원인은 혈관 벽을 약하게 하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이다. 특히 고령의 남성에서 다수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하다. 복부 대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복부나 등, 허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복부에 쿵쿵 뛰는 듯한 박동감을 느끼는 것도 대표적인 의심 신호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대부분 대동맥이 파열하기 직전이거나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조기 진단을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기 검진으로 미리 발견해야 한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복부 대동맥류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인공 혈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