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사설](27일 조간)

▲ 경향신문 = 트럼프·시진핑 방한, APEC 실용외교 진면목 보일 기회

12년간 커진 자산 불평등, 문제의 근원은 부동산

여야, 투기 공세 멈추고 합리적 부동산 공급안 모색해야

▲ 동아일보 = 美 군함 공동 건조, 닻 올린 'MASGA'…안보·경제 동맹 지렛대로

지방채 발행 요건 완화…소비쿠폰에 쏟은 돈 빚내서 메우나

4개 과기원 '수시' 응시생 5년 새 최다…'의대 쏠림' 줄어들까

▲ 서울신문 = 경주 APEC에 세계 시선… 위기를 기회로 바꿀 발판으로

트럼프 "北 핵 보유"… 아슬아슬 벼랑에 몰린 비핵화 원칙

우왕좌왕 집값 대책, 주거 사다리 복구 보완책 나와야

▲ 세계일보 = 납득 못 할 인사 지체, 정치가 국정 망치는 것 아닌가

K-외교 지평 넓힐 '슈퍼 위크', 국익수호 최선 다하라

"李 4년 연임, 국민이 결단할 문제"라는 법제처장

▲ 아시아투데이 = 트럼프, 金 회동 거듭 제안…북핵용인 절대 안 된다

與 '재초환 폐지' 갈팡질팡…이렇게 가벼워서야

▲ 조선일보 = '성난 부동산 민심'에 마구 던지는 '땜질 처방'으론 안 된다

법제처장이 대통령 개인 변호하는 자리인가

"북은 핵 보유 세력" 트럼프 발언, 걱정스러운 사태 전개

▲ 중앙일보 = 트럼프의 방한, 북핵 인정하는 계기 돼선 안 된다

부적절한 법제처장의 대통령 개인 변호

▲ 한겨레 = 여야, 부동산 이전투구 관두고 장기 대책에 힘모아야

외교 슈퍼위크, 이재명 정부 국익과 실용 택해야

이태원 참사 3주기, 진상규명부터 제대로 해야

▲ 한국일보 = 실언, 번복, 오류, 혼선… 성난 부동산 민심 세심히 살펴야

트럼프 "북, 일종의 핵보유국" … 북핵 용인 안 돼

대장동 변호인 출신 법제처장 "이 대통령 모두 무죄"라니

▲ 글로벌이코노믹 = 경제성장 가로막는 부동산 자금 집중

고삐 풀린 국가부채 관리 서두를 때다

▲ 대한경제 = APEC 외교 슈퍼위크, 경제지평 넓힐 호기돼야 한다

스마트건설의 눈덩이 효과, 산업 체질 개선으로 이어져야

▲ 디지털타임스 = 법제처장 "李대통령 연임은 국민 결단 문제"…헌법 우롱하나

미중일과 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오직 국익으로 승부해야

▲ 매일경제 = 반환점 돈 국감 역대급 피로감…이럴 거면 폐지해야

국토차관 사퇴로 꼬리자르기… 성난 민심 가라앉겠나

'金 깜짝회동' 공들이는 트럼프, 치적 위해 북핵 눈감을까 걱정

▲ 브릿지경제 = 해킹에 뚫린 이통 3사, 무엇이 더 중요한가

▲ 서울경제 = 비쟁점 민생법안 늑장 처리…'경제살리기 입법'은 서둘러야

글로벌 빅테크 거물들이 '혁신 성장' 머리 맞댈 경주APEC

트럼프 "北, 핵보유국" 공언하며 "金과 만나고 싶다"는데

▲ 이데일리 = 슈퍼 위크 한국 외교, 국익 철저히 챙기고 국격 높여야

방향 잘못 잡은 10·15 대책, 궤도 수정 주저할 이유 없다

▲ 이투데이 = 쌀 산업 보호, 농가소득 안정·시장가격이 핵심

▲ 전자신문 = 현대차 레벨4 수소트럭, 기대 크다

▲ 파이낸셜뉴스 = 부동산 정책 혼선, 신뢰 되찾을 열쇠는 현장에 있다

북미대화 가능성, 보여주기 아닌 실질성과가 중요

▲ 한국경제 = 코스피 급등·수출 신기록이라지만 … 반도체 착시 경계해야

전세대란 우려에도 '9년 전세' 법안 내놓겠다는 여권

트럼프 또 "북한은 핵보유국" … 비핵화 원칙까지 흔들 건가

▲ 경북신문 = 해병 특검, '수사 부진' 논란… 대부분 영장기각

▲ 경북일보 = 경주서 '외교 슈퍼위크'…새 세계질서 열린다

지역 균형발전은 국가 생존 위한 마지막 탈출구

▲ 대경일보 = 과메기, 어려운 포항경제에 도움되기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만약 '위고비·마운자로' 오남용심각…정부 "우려의약품 지정"
정부가 '위고비', '마운자로' 등 신종 비만 치료제의 오남용 문제에 칼을 빼 든다. 미용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처방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이들 약물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의약분업 원칙을 위반한 의료기관의 '원내조제'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최근 이들 약물은 본래의 당뇨병 치료나 고도비만 환자 대상이 아닌,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게까지 '살 빼는 주사'로 알려지며 미용 목적으로 처방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오남용 실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허가 기준을 벗어난 처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분명한 입장을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와 협의해 해당 약물들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약물들은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 '기적의 약'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전문의약품인 만큼 뚜렷한 부작용 위험을 안고 있다. 가벼운 메스꺼움이나 구토, 설사 등 소화기계 문제뿐만 아니라, 심각하게는 췌장염이나 장폐색(장 마비) 같은 치명적 합병증까지 보고된 바 있다. 의약분업 원칙을 둘러싼 '원내 조제' 논란도 정부의 관리·감독 대상에 올랐다. 현행 의약분업 원칙상 의사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