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4일)

[오늘의 증시일정](14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티로보틱스 [117730](BW행사 39만5천946주 1만4천182원, CB전환 66만6천132주 8천767원)
▲ 오가닉티코스메틱 [900300](유상증자 1억주 340원)
▲ 카카오 [035720](스톡옵션 6만6천20주 3만2천262원)
▲ 셀트리온 [068270](스톡옵션 7천109주 7만9천311원, 스톡옵션 5천958주 7만1천999원, 스톡옵션 1천155주 15만6천285원, 스톡옵션 270주 15만6천746원, 스톡옵션 3천650주 12만3천606원, 스톡옵션 3천673주 12만8천858원)
▲ 제테마 [216080](스톡옵션 13만9천주 5천250원, 스톡옵션 1만주 4천75원)
▲ 루닛 [328130](스톡옵션 3만8천356주 7천원, 스톡옵션 5천주 1만1천625원, 스톡옵션 8천800주 2만1천500원)
▲ 로킷헬스케어 [376900](스톡옵션 1만주 1만400원, 스톡옵션 16만1천800주 1만4천420원, 스톡옵션 2만9천850주 2만원)
▲ 대진첨단소재 [393970](스톡옵션 1만주 2천250원)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476040](스톡옵션 1만7천870주 5천224원)
▲ 에이프로젠 [007460](CB전환 259만7천402주 770원)
▲ 케이엠더블유 [032500](CB전환 16만576주 1만3천57원)
▲ 엠케이전자 [033160](CB전환 4만2천56주 7천988원)
▲ 다날 [064260](CB전환 114만7천957주 3천136원)
▲ 나이벡 [138610](CB전환 2천833주 2만1천175원)
▲ 심텍 [222800](CB전환 3만7천746주 2만1천194원)
▲ 큐라티스 [348080](CB전환 792만3천930주 631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3일) 주요공시]
▲ LG화학, 美 기업에 3.8조 규모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 공급 계약
▲ 아시아나항공 3분기 영업손실 1천757억원…적자 전환
▲ 피플바이오[304840], 40억원 유상증자…유한회사 리얼리티젠에 3자배정
▲ 네오펙트[290660] "빌리 신기술조합 제67호 주식 50억원에 취득"
▲ SK스퀘어[402340] 3분기 영업이익 2조6천455억원…역대 최대 실적
▲ 올리패스[244460], 6억원 유상증자…2대주주 제노큐어에 제3자배정
▲ HMM, 3분기 영업익 2천968억원…운임하락·관세 여파에 79.7%↓
▲ 한화손보, 3분기 누적 순이익 2천942억원…작년 대비 14.9%↓
▲ 차바이오텍[085660] 3분기 누적 영업손실 413억원…"헬스케어 투자 영향"
▲ 오리온[271560], 3분기 영업이익 1천379억원…"해외시장 확대 지속"
▲ 국세청, 태광산업[003240] 세무조사 착수…태광 "성실히 임해"
▲ 루닛[328130], 3분기 누적 매출 567억원…66%↑
▲ 한전 3분기 영업익 5조6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66.4%↑
▲ 저축은행 부실정리 속도…3분기 연체율 6%대로 떨어져
▲ 오아시스마켓 3분기 영업이익 47% 감소…"무인매장 투자 영향"
▲ 삼성생명[032830] 3분기 영업이익 8천158억원…작년 동기 대비 2.5%↑
▲ 케이뱅크, 3분기 순익 192억원…마케팅 확대에 48% 감소
▲ 코인 거래 수수료율 공시 의무화…모범규준 시행
▲ 롯데케미칼, 자회사 LCPL 매각 완료…1천276억원 자금확보
▲ 삼성화재[000810] 3분기 영업이익 6천641억원…작년 동기 대비 7.4%↓
▲ 피플바이오[304840], 90억원 유상증자…(주)이스턴네트웍스에 제3자배정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통합돌봄 코앞인데 방문진료 의원 2.8%뿐…"수가 인상해야"
돌봄이 필요한 노인이나 장애인 등이 살던 곳에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통합돌봄'이 내년 3월 전국에서 시행되지만, 재택의료 서비스인 방문진료 참여 의원은 3%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진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가 인상 등 현실화, 표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의사와 환자 대상 홍보 등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전문가들은 제언했다. 정혜민 서울시립보라매병원 공공의학과 과장은 지난 12일 국회 남인순·서미화 의원과 대한의사협회가 공동 주최한 '고령사회, 일차의료 방문·재택의료 활성화' 국회 토론회에서 이같은 현황을 공개했다. 2019년 12월 시작된 일차의료 방문진료 시범사업은 거동이 불편해 의료기관 내원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 내 일차의료기관 소속 의료진이 환자 자택을 방문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정 과장에 따르면 현재 의원급 의료기관 1천7곳이 방문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나, 전국의 총의원 수에 비하면 참여율은 2.8%에 불과하다. 더욱이 방문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 중에서 실제 수가를 청구한 기관은 303곳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이처럼 참여율이 저조한 데에는 의사들조차 방문진료에 대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