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주요 일정](19일·수)

[오늘의 주요 일정](19일·수)
[정치]
▲ 이재명 대통령
아프리카·중동 순방
▲ 김민석 국무총리
중앙일보 주최 2025 중앙포럼(10:00 서울 중구 롯데호텔)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14:00 울산 전시컨벤션센터)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제1소위원회(10:00 본관 406호)
기획재정위원회 경제재정소위원회(10:00 본관 431호)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정보통신방송법안심사소위원회(10:00 본관 628호)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지식재산소위원회(10:00 본관 534호)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제2소위원회(10:00 본관 601호)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10:00 본관 638호)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10:30 본관 401호)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 대구 현장 최고위원회의(10:00 대구시장)
정청래 당대표, 대구 수성 알파시티 기업 라운딩 및 현장간담회(11:30 스피어AX)
김병기 원내대표, 정치검찰 조작기소대응특위(10:30 본청 당대표회의실)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대장동 일당 7,800억원 국고 환수 촉구 현장 방문(08:30 서울 강남구 청담동 122-14)
장동혁 대표, 국민의힘-대한상공회의소 정책간담회(10:30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
장동혁 대표, 쿠키뉴스 창간 21주년 기념식(14:00 CCMM빌딩 12층 컨벤션홀)
송언석 원내대표, 국민의힘-대한상공회의소 정책간담회(10:30 대한상공회의소 챔버라운지)
▲ 조국혁신당
서왕진 원내대표,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판문점 등 파주시 일대 현장시찰(09:40)
▲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통상업무
천하람 원내대표, D-CON 컨퍼런스(14:00 페어몬트 엠배서더 서울)
천하람 원내대표, 쿠키뉴스 입법우수 국회의원 시상식(14:00 국민일보 12층 컨벤션홀)
천하람 원내대표, 단국대 특강(16:00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국제관101호)

 

[외교안보]
▲ 조현 외교부 장관, G20 정상회의 및 중동·아프리카 순방
▲ 김진아 외교부 2차관, 몽골 출장
▲ 외교부, 국회 외통위 전체회의(10:30)
▲ 국방부, 삼정검 수여식(09:30)
▲ 통일부, 외통위 전체회의 참석(10:30)

 

[경제]
▲ 기재부, 기재위 예산결산소위 (10:00 국회)
▲ 기재부, 예결위 전체회의 (10:00 국회)
▲ 기재부, 국회 본회의(14:00 국회)
▲ 금융위, 정무위 전체회의(17:00 국회)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금융소비자보호 중심의 금융감독 전환을 위한 금융소비자보호 토론회(1차)(14:30 9층 대회의실)

 

[산업]
▲ 김정관 산업장관, 국외출장(G20 및 UAE 등 / 11.18~11.20)
▲ 산업통상부, 산중위 및 예결위 소위(10:00 국회)
▲ 김윤덕 국토장관, 국외 출장(~19일 사우디)
▲ 국토부, 경제관계장관회의(09:00 정부서울청사)
▲ 김용석 대광위원장, 신도시 교통대책 후속조치 TF(14:00 서울)

 

[소비자경제]
▲ 중기부, 지역 AI 대전환 비전선포식(13:30 창원컨벤션센터)
▲ 중기부, AI 공급·수요기업 간담회(14:50 창원컨벤션센터)
▲ 농식품부, 영농형태양광 전문가 토론회(14:00 세종)

 

[테크]
▲ 배경훈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박인규 과기혁신본부장, 국외출장
▲ 과기정통부, 지방시대 엑스포 기념행사(14:00 울산전시컨벤션센터)
▲ 과기정통부, 과방위 법안소위(10:00 국회)
▲ 오유경 식약처장, 국외 출장(∼19일 UAE)
▲ 김용재 식약차장, 복지위 법안소위(10:30 서울)
▲ 방미통위, 인공지능서비스 이용자 보호 콘퍼런스(14:00 서울 엘타워)

 

[사회]
▲ 한덕수 내란 우두머리 방조 혐의 1심 속행 공판(10:00 서울중앙지법)
▲ 김건희 오빠 김진우씨 구속 전 피의자 심문(10:10 서울중앙지법)

 

[정책사회]
▲ 교육부, 경제관계장관회의(09:00 정부세종청사)
▲ 교육부, 2025년 터치교사단 발대식(16:00 서울 코리아나호텔)
▲ 행안부, 예결위 소위(10:00 국회)
▲ 행안부,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기념식(14:00 울산전시컨벤션센터)
▲ 행안부, 지방자치 30주년 미래 비전 글로벌 컨퍼런스(15:30 울산전시컨벤션센터)
▲ 성평등부, 경제장관회의(09:00 정부서울청사)
▲ 성평등부, 디지털성범죄 대응관련 전문가 자문회의(10:00 정부서울청사)
▲ 성평등부, 제3회 한부모가족 축제(14:30 용산 국방컨벤션)
▲ 성평등부, 성별임금격차 해소 등 고용평등실현을 위한 제3차 전문가 간담회(17:00 정부서울청사)
▲ 성평등부 , 성별임금격차 해소 등 고용평등실현을 위한 제3차 전문가 간담회(17:00 정부서울청사)
▲ 복지부, 상임위 법안심사 2소위(10:00 국회)
▲ 복지부, 제19회 아동학대 예방의 날(14:00 서울)
▲ 임승관 질병청장, 백신 임상지원 설명회(13:30 서울)
▲ 노동부, 청년일자리 강소기업 채용박람회(10:30 대전컨벤션센터)
▲ 김성환 기후부 장관,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브라질 벨렝)
▲ 기후부, 초미세먼지 재난대응 모의훈련(08:00 세종)
▲ 기후부, 경제관계장관회의(09:00 세종)
▲ 기후부, 접경지역 에너지고속도로 현장방문(09:40 파주)

 

[부산]
▲ 제1회 부산광역시장배 시니어테니스대회 개회식(08:30 사직실내테니스장)
▲ 2025 사랑의 김치나눔 한마당(10:00 벡스코 제2전시장)

 

[울산]
▲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14:00 울산전시컨벤션센터)

[경남]
▲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 비전선포식(14:00 세코)

 

[대구경북]
▲ 경북도·한국환경산업기술원, 산불 피해지역 보일러 기증식(10:00 경북도청)
▲ 경북도 자원봉사대회(14:00 영천체육관)

 

[대전충남]
▲ 2025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10:00 DCC)

 

[강원]
▲ 산학 융합지구 준공식(15:30 원주시 문막읍)

 

[제주]
▲ 제주도민과 함께 하는 해군 호국음악회(19:00 제주문예회관)

 

[국제](현지시간)
▲ 이재명 대통령, 이집트 공식 방문(∼21일)
▲ 스웨덴 총리, 독일 방문
▲ 중국 외교부 정례 브리핑(16:00 중국 외교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제약산업이 국가 성장동력"…제39회 약의 날 기념식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안전한 약, 건강한 국민, 함께하는 내일'을 주제로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제39회 약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정부, 국회, 산업계, 학계 등 약업 분야 종사자 약 300명이 참석해 의약품의 공공재적 가치를 인식하고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겠다는 사회적 책무를 다짐했다. 국내 제약산업의 수출 기반 확장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격려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윤석근 일성아이에스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동탑산업훈장, 의약품 유통 질서 및 의약품 안정공급에 기여한 서영호 동부산약품 주식회사 대표이사에게 산업포장이 수여되는 등 의약품 안전과 제약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에게 총 43점의 훈·포장과 표창이 수여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사전 부대행사로 의약품 안전 사용 포스터·카툰 공모전 시상식과 의약품 부작용을 주제로 한 세미나 등이 개최됐다. 약 바르게 알기 교육 등을 주제로 총 8개 기관이 전시 부스도 운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서면 축사에서 "이제는 진정한 글로벌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 함께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뛰어난 연구 인력, 세계적 수준의 제조 기반 등 전 세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공기 흡입 미세플라스틱, 대장 이동 변비 유발 가능성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 흡입이 변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산대학교는 바이오소재과학과 BK21사업팀의 황대연 교수 연구팀이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윤우빈 박사, 인제대학교 장미란 교수와 공동연구로 공기 중 미세플라스틱의 흡입이 성인의 변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흔히 일회용 컵, 포장재 등에 사용되는 폴리스틸렌 재질의 미세플라스틱을 공기 중에 분사해 실험동물에 흡입시킨 후 폐 조직에 침투된 미세플라스틱이 혈액을 통해 대장으로 이동해 만성변비 질환을 유도함을 규명했다. 대장으로 이동한 미세플라스틱은 배변의 지연, 장운동의 억제, 대장 체액운반시스템 이상, 장신경계 기능 저하 등 변비 질환의 주요증상을 유발했고, 대장 조직의 심각한 구조변화를 유도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을 직접 꼬리정맥으로 투여한 마우스에서 동일하게 관찰해 실험결과를 증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혈액을 통해 운반된 미세플라스틱이 이차적으로 이동하는 소화기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변비 질환의 새로운 원인으로서 미세플라스틱의 가능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 부산대 황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