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개 길이 획기적으로 줄인 전이개낭종 제거 수술법 개발

이준호 춘천성심병원 교수, 흉터 거의 없이 귀 앞 구멍 염증 제거
수술 후 재발률 2.5%로 기존 8.1% 보다 3배 이상 낮아

  이준호 한림대학교 춘천·한강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절개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인 전이개낭종 제거 수술법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전이개낭종은 귀 앞에 생긴 구멍 안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낭종 구멍에서 악취 또는 분비물이 나오거나 세균감염으로 피부가 부어오르면 치료가 필요하다.

 전이개낭종 국내 유병률은 2∼3% 정도로 알려져 있다.

 치료법으로는 항생제 복용과 함께 피부를 째고 고름을 빼내는 방법이 있으나 재발할 수 있어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로 낭종을 제거해야 한다.

 기존 제거 수술은 2㎝ 이상 피부를 절개한 뒤 낭종 주머니를 제거하고, 주머니가 있었던 공간을 없애기 위해 압박 드레싱을 했다.

 이때 수술 부위가 함몰되거나 흉터가 남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재발 우려도 있다.

 반면 이 교수가 개발한 '전이개낭종 최소절개접근법'은 낭종 구멍을 중심으로 1㎝ 이하만 절개해도 수술이 가능하다.

 현미경을 통해 전이개낭종 주머니가 손상 없이 나올 수 없는 최소범위를 계산한 뒤 정교하게 절개해 낭종 주머니를 꺼내는 방식이다.

 절개 범위를 현저히 줄여 흉터도 거의 남지 않고, 압박 드레싱 없이도 수술 후 당일 퇴원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 교수가 2016년 8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전이개낭종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이 수술법을 쓴 결과 평균 절개 길이는 0.75㎝로 기존 수술법과 견줘 절개 길이가 3배 가까이 줄었다.

 특히 10세 이하 소아 환자의 평균 절개 길이는 0.56㎝로 일부 환자는 0.35㎝ 절개만으로도 낭종 제거가 가능했다.

 수술 후 재발률도 2.5%로 기존에 알려진 재발률 8.1%보다 3배 이상 낮았다.

 이 교수는 "얼굴에 남는 흉터를 걱정하는 환자들을 보고 절개 범위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을 고민한 끝에 수술법을 개발하게 됐다"며 "수술 후 바로 일상에 복귀할 수 있어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가 개발한 수술법은 올해 1월 세계 국제학술지 '소아이비인후과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에 실렸다.

이준호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교수[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제주 감귤 껍질, 식약처 체지방 감소 기능성 원료로 등록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제주산 귤피(감귤 껍질)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 인정형 기능성 원료'(제2025-23, 24호)로 등록됐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제주 감귤 껍질이 국내에서 기능성 원료로 등록된 첫 성공사례다. 한의학에서는 귤피(진피)는 소화를 돕고 기를 순환시켜 몸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전통적인 법제 기술을 응용한 덖음(로스팅) 기법을 도입해 귤피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헤스페리딘 함량을 높이고 약효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성인 93명을 대상으로 한 인체 적용시험에서도 12주간 '덖음귤피추출분말'(JRC) 300㎎을 섭취한 결과, 체지방량, 체질량 지수, 체중, 허리·엉덩이 둘레 등 주요 비만 지표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또 비임상시험에서는 지방세포 분화와 합성 관련 인자를 억제하고 지방분해와 에너지 대사 관련 인자를 촉진하는 체지방 감소 기전을 규명해 과학적 근거를 확보했다. 제주한의약연구원은 제이앤제바이오헬스케어, 알피바이오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제주산 귤피를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상용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제주산 귤피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제주도와 협력해 도내 농가 및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