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개 길이 획기적으로 줄인 전이개낭종 제거 수술법 개발

이준호 춘천성심병원 교수, 흉터 거의 없이 귀 앞 구멍 염증 제거
수술 후 재발률 2.5%로 기존 8.1% 보다 3배 이상 낮아

  이준호 한림대학교 춘천·한강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절개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인 전이개낭종 제거 수술법을 개발해 국제 학술지에 발표했다.

 전이개낭종은 귀 앞에 생긴 구멍 안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낭종 구멍에서 악취 또는 분비물이 나오거나 세균감염으로 피부가 부어오르면 치료가 필요하다.

 전이개낭종 국내 유병률은 2∼3% 정도로 알려져 있다.

 치료법으로는 항생제 복용과 함께 피부를 째고 고름을 빼내는 방법이 있으나 재발할 수 있어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로 낭종을 제거해야 한다.

 기존 제거 수술은 2㎝ 이상 피부를 절개한 뒤 낭종 주머니를 제거하고, 주머니가 있었던 공간을 없애기 위해 압박 드레싱을 했다.

 이때 수술 부위가 함몰되거나 흉터가 남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재발 우려도 있다.

 반면 이 교수가 개발한 '전이개낭종 최소절개접근법'은 낭종 구멍을 중심으로 1㎝ 이하만 절개해도 수술이 가능하다.

 현미경을 통해 전이개낭종 주머니가 손상 없이 나올 수 없는 최소범위를 계산한 뒤 정교하게 절개해 낭종 주머니를 꺼내는 방식이다.

 절개 범위를 현저히 줄여 흉터도 거의 남지 않고, 압박 드레싱 없이도 수술 후 당일 퇴원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 교수가 2016년 8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전이개낭종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이 수술법을 쓴 결과 평균 절개 길이는 0.75㎝로 기존 수술법과 견줘 절개 길이가 3배 가까이 줄었다.

 특히 10세 이하 소아 환자의 평균 절개 길이는 0.56㎝로 일부 환자는 0.35㎝ 절개만으로도 낭종 제거가 가능했다.

 수술 후 재발률도 2.5%로 기존에 알려진 재발률 8.1%보다 3배 이상 낮았다.

 이 교수는 "얼굴에 남는 흉터를 걱정하는 환자들을 보고 절개 범위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을 고민한 끝에 수술법을 개발하게 됐다"며 "수술 후 바로 일상에 복귀할 수 있어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가 개발한 수술법은 올해 1월 세계 국제학술지 '소아이비인후과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에 실렸다.

이준호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교수[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부산대, 차세대 표적 항암제 후보물질 개발…종양 40% 감소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암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해 암 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부산대학교는 분자생물학과 장세복 교수와 생명시스템연구소 김현진 전임연구원이 암세포 생존을 촉진하는 단백질 복합체 결합 구조를 극저온 전자현미경 기법으로 원자 수준에서 해석하고 이 구조를 기반으로 암세포 증식·이동 억제 기능을 갖춘 물질을 설계해 차세대 항암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폐암, 대장암, 췌장암 세포에서 펩타이드 투여 시 암세포의 ATP(아데노신 삼인산) 생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세포 이동성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했다. 정상 세포에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동물실험에서도 종양 부피와 무게를 40% 이상 감소시켰으며,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정상 세포에서도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 장세복 교수는 "기존 RAGE 억제제는 낮은 특이성과 독성으로 인해 임상적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펩타이드 기반 치료법은 특정 단백질 간 상호작용을 통해 암세포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활동을 선택적으

메디칼산업

더보기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2곳뿐…역대 최저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 기관으로 지정된 의료기관이 2곳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곳은 숭인의료재단 김해복음병원과 동강의료재단 동강병원 2곳에 그쳤다. 작년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건수는 전년 9건에 비해 22.2%에 불과한 수준이다. 의료기기법상 임상시험을 위한 시설, 인력, 기구를 갖춘 의료기관을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다. 식약처는 2007년 임상시험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안전하고 과학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 지정 제도를 도입했다. 2007년 3월 2일 서울대 치과병원이 제1호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한 해 동안 연세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고려대 의과대학부속 구로병원 등 모두 38개 기관이 지정됐다. 2008년 17곳이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2013년까지 매년 10곳 이상 지정됐다가 2014년부터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2020년 10곳이 지정되며 반짝 두 자릿수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이후로는 한 자릿수를 유지했고 작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은성의료재단 좋은강안병원이 지난 7일 의료기기 임상시험기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