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평가 종합병원 점수 82.7점…"불만 말하긴 어려워"

상급종합병원·300 병상 이상 종합병원 '환자 경험 평가' 결과
만족도 '간호사' 영역 > '의사' 영역…"의료진과 환자 간 의사소통, 정보제공 점수 낮아"

 종합병원에 입원했던 환자들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는 게 쉽지 않았고 의사를 만나 이야기할 기회도 부족하다고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간호사들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지만, 의사들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8일 환자 중심의 의료 문화를 확산하고자 환자들이 직접 의료서비스를 평가한 '2차 환자 경험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심평원 홈페이지(http://www.hira.or.kr)에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상급종합병원과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154곳에 입원한 적 있는 성인 2만3천924명을 대상으로 의사·간호사, 투약 및 치료과정, 병원 환경, 환자 권리 보장 등 6개 영역에 관해 전화로 진행했다.

 평가 결과, 환자들이 체감한 의료서비스의 전체 평균은 82.7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간호사(86.1점) 영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의사(81.6점), 투약 및 치료과정(82.8점), 병원 환경(82.6점), 환자 권리 보장(80.2점), 추천 여부를 비롯한 전반적 평가(82.5점) 등 모두 80점 이상이었다.

 간호사 영역은 환자를 대하는 태도를 평가한 '존중·예의', '경청' 항목에서 각각 86.4점, 86.8점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의사 영역의 경우, '존중·예의'(87.8점), '경청'(87.4점) 문항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의사와 만나 이야기할 기회'는 74.4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회진 시간 정보 제공도 76.6점에 불과했다.

 투약 및 치료과정 영역에서는 항목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환자들은 퇴원 후 주의사항이나 치료 계획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93.2점으로 전체 20여개 문항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줬지만 '위로와 공감', '투약·처치 관련 부작용 설명'에 있어서는 70점대로 평가했다.

 병원이 전반적으로 깨끗했는지, 안전한 환경이었는지를 평가한 영역에서는 각각 81.8점, 83.4점으로 나타났다.

 환자 권리가 제대로 보장됐는지 여부를 물은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낮은 점수를 받아 '꼴찌'였다.  

 특히 환자가 의료서비스 관련 불만을 말하기 쉬웠는지 평가한 항목은 71.6점으로 전체 문항 중 가장 점수가 낮았다.

 심평원은 이번 2차 평가의 영역별 점수가 2017년에 이뤄진 1차 평가보다는 다소 낮았다고 분석했다.

 

 예컨대 1차 평가 전체 평균은 83.9점이었으나 2차 평가의 경우 82.7점으로 1.2점 낮아졌다. 다만 300~499병상을 갖춘 종합병원 59곳이 이번 평가 대상에 추가된 영향도 있다고 심평원은 설명했다.

 심평원은 "환자와 의료진 간 대인적 측면과 관련한 경험 평가 점수는 비교적 높았지만, 의료진과 환자 간 의사소통, 정보제공 및 환자 참여 측면에서는 1차 평가와 유사하게 낮은 점수가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심평원은 두 차례 평가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한 뒤, 평가를 중장기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