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글로벌, 일본 ACA 등과 'AI 의료 헬스케어 협의체' 출범

HLB글로벌은 24일 서울 반포 '더리버'(THE RIVER)에서 일본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 ACA(Asia Capital Alliance) 및 국내 의료 AI 기업들과 'AI 헬스케어 협의체' 출범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AI 의료 헬스케어 협의체는 한일 의료 데이터를 연결하고 미래 헬스케어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전략적 전환점으로, AI 기술을 통해 개인 맞춤의학과 예방 중심의 의료 AI 체계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회사가 전했다.

협의체에는 HLB글로벌을 비롯해 ACA, 셀바스AI 제이엘케이, 뷰노, 메디아나 등이 참석했다.

협약식에 앞서 각 기업 대표 간 실무회의를 통해 각 사가 고유 AI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협의체에 접목할 차별화된 기능과 전략에 대해 의견을 모았다.

HLB글로벌은 자회사 HLB라이프케어를 통해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 대사질환에 특화된 AI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번 협의체를 통해 관련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모델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일본 ACA의 폭넓은 병원·제약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일본 내 유수 병원 및 제약사와 실증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AI 기반 맞춤의료 서비스의 현지 적용과 확산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임상 데이터 확보, 공동 연구개발, 규제 대응 등 다양한 전략적 협업이 전개할 예정이다.

김광재 HLB글로벌 대표는 "AI 기술이 단순히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만을 높이던 시대는 지났으며, 이제는 의료 서비스의 가치 흐름 자체를 바꾸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며 "대표 의료 AI 기업들과의 협업은 단순한 기술 통합을 넘어, 미래 AI 의료 헬스케어의 청사진을 함께 그려가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장익상 선임기자(iksang.jang@gmail.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