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정신의학의 현실과 나아갈 길’ 심포지엄 조회수 1천700건

용인정신병원, 웨비나 방식으로 생중계...성황리 종료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조현병 병명 개정 10주년을 맞아 지난 21일 ‘코로나 시대 정신의학의 현실과 나아갈 길’을 주제로 웨비나 방식으로 생중계된 용인정신병원의 심포지엄이 누적 조회수 1천700건을 돌파하는 등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심포지엄은 △코로나 대유행과 정신증 △감염병 대유행과 사회 변화 △팬데믹 시대 마음 다스리기 세션으로 구성해 정신건강 의학 분야 종사자에게는 현장에서 유익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인 내용을, 일반 대중에는 감염병 대유행에 대한 지식과 지친 마음을 잘 다스리기 위한 방법을 제시했다.

  특별 강연자로 미국 피츠버그 의과대학 교수 Dr. Vishwajit L. Nimgaonkar와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소 사무관 Mr. Martin Vandendyck는 각각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미국 내 정신 질환자 현황 및 치료 실태’, ‘지역적 관점으로 본 정신건강 및 코로나19’에 대해 발표해 심포지엄에 깊이를 더했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법학전문 대학원 석좌교수 Dr. Elyn Saks는 조현병 당사자로서 본인이 겪은 경험에 대해 공유해 코로나19로 더 어려움을 겪는 정신질환자들에게 힘이 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450여명의 사전 등록자를 모집해 개최 전부터 기대를 모았었다.

 용인정신병원 이유상 진료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이 팬데믹 시기 정신의학의 현실을 냉철하게 살펴보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끈을 놓지 않는 데 미력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더불어 정신 장애인들이 일하고 사랑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힘을 보탤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