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24일)

[오늘의 증시일정](24일)
    ◇ 주주총회
    ▲ 이앤에치[341310]
    ▲ 케이카[381970]

    ◇ 신규상장
    ▲ 케이옥션[102370]
    ▲ 애드바이오텍[179530]

    ◇ 추가 및 변경상장
    ▲ 디이엔티[079810](주식전환 31만6천78주 5천62원)
    ▲ 엔에이치엔[181710](무상증자 1천795만2천890주)
    ▲ 서울옥션[063170](유상증자 85만6천767주 0원)
    ▲ 애드바이오텍[179530](유상증자 136만주 0원)
    ▲ 조이시티[067000](스톡옵션 3천42주 3천80원, 스톡옵션 8천500주 3천440원)
    ▲ 에이비온[203400](스톡옵션 600주 7천526원, 스톡옵션 1만주 5천739원)
    ▲ (주)플리토[300080](스톡옵션 3천930주 2만2천297원)
    ▲ 주식회사 티와이엠[002900](CB전환 9만1천575주 1천365원)
    ▲ 에스넷[038680](CB전환 1만3천989주 7천148원)
    ▲ (주)대호에이엘[069460](CB전환 100만7천978주 2천381원)
    ▲ (주)아나패스[123860](CB전환 8천558주 2만3천369원)
    ▲ 비디아이[148140](CB전환 509만4천614주 1천374원)
    ▲ 와이엠티[251370](CB전환 14만5천659주 1만298원)
    ▲ (주)인산가[277410](CB전환 29만6천251주 1천654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21일) 주요공시]
    ▲ LG엔솔 기관 배정 공모주, 58.3%가 의무보유 확약

 


[오늘의 채권ㆍ외환 메모](1월24일)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국내
    ▲코스피 2,834.29(-28.39p)
    ▲코스닥 942.85(-15.85p)
    ▲달러-원 1,194원(+1.6원)
    ▲국고채 3년물 2.132%(+1.3bp)
    ▲국고채 10년물 2.54%(-1.8bp)
    ◇해외
    ▲다우지수 34,265.37(-450.02p)
    ▲S&P500지수 4,397.94(-84.79p)
    ▲나스닥지수 13,768.92(-385.1p)
    ▲美국채 2년물 1.0158%(-1.52bp)
    ▲美국채 10년물 1.7627%(-4.77bp)
    ▲獨국채 10년물 -0.0635%(-3.95bp)
    ▲달러-엔 113.647엔(-0.552엔)
    ▲유로-달러 1.13413달러(+0.00383달러)
    ▲WTI 85.14달러(-0.41달러)
    ◇채권 만기
    ▲공사채 4억원
    ▲은행채 5천억원
    ▲회사채 4천30억원
    ◇채권 발행
    ▲회사채 7천350억원
    ◇채권 입찰
    ▲통안채 91일물 1조원
    ▲국고채 5년물 8천억원 선매출
    ▲국고채 5년물 1조7천억원 본입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혈당측정기 온라인 가격 강제…아이센스 과징금 2억5천600만원
온라인 재판매 업체들이 자사의 혈당측정기를 특정 가격 이하로 싸게 팔지 못하도록 '갑질'한 의료기기업체가 억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아이센스에 과징금 2억5천6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최근 밝혔다.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위법 행위 방지 교육 실시 명령도 했다. 아이센스는 2019∼2024년 자가혈당측정기 세트의 온라인 권장 판매가격을 준수하지 않은 온라인 재판매 업체에 불이익을 준 혐의를 받는다. 국내 상장사 기준으로 2020년 이후 6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아이센스는 오프라인 유통점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격을 강제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센스는 2019년 혈액을 묻힐 수 있게 제조된 용기인 '스트립'을 저가로 판매하는 업체를 자체 적발해 공급가 10% 인상·공급 수량 제한·신규 영업활동 제한 등 불이익 조치를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이후에는 온라인총판 계약을 체결한 대한의료기와 함께 온라인 판매 가격을 점검한 뒤, 20개 업체를 '블랙리스트'로 관리하면서 공급 중단을 실행하기도 했다. 이는 거래 가격을 정해 그 가격대로 판매할 것을 강제하는 '재판매 가격 유지 행위'에 해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