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여성 보직자 비율 62%…보건업 평균보다 높아"

 국립암센터는  "조직 내 보직자 10명 중 6명이 여성으로, 보건업 평균 여성 보직자 비율보다 높다"고 밝혔다.

 암센터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재 전체 직원 2천248명 중 여성 직원이 1천593명(70.9%)으로 남성 직원(655명)보다 많았다.

특히 보직자 325명 중에서도 여성(202명·62.2%)이 남성(123명)보다 많았다.

 여성 보직자 비율은 2024년 기준 직원 1천명 이상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 기관의 평균(54.5%)보다 높다.

 약무직은 보직자가 전부 여성이었고, 연구직에서도 여성 보직자의 비율(53.1%) 절반을 넘었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여성 근로자·관리자 비율이 업계 평균을 뛰어넘는 것은 암센터가 공공기관으로서 실질적인 성평등과 인재 육성에 앞장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앞으로도 성별과 관계없이 직원들이 각자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평등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경력 개발 기회를 늘리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혈당측정기 온라인 가격 강제…아이센스 과징금 2억5천600만원
온라인 재판매 업체들이 자사의 혈당측정기를 특정 가격 이하로 싸게 팔지 못하도록 '갑질'한 의료기기업체가 억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아이센스에 과징금 2억5천6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최근 밝혔다.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위법 행위 방지 교육 실시 명령도 했다. 아이센스는 2019∼2024년 자가혈당측정기 세트의 온라인 권장 판매가격을 준수하지 않은 온라인 재판매 업체에 불이익을 준 혐의를 받는다. 국내 상장사 기준으로 2020년 이후 6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아이센스는 오프라인 유통점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격을 강제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센스는 2019년 혈액을 묻힐 수 있게 제조된 용기인 '스트립'을 저가로 판매하는 업체를 자체 적발해 공급가 10% 인상·공급 수량 제한·신규 영업활동 제한 등 불이익 조치를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이후에는 온라인총판 계약을 체결한 대한의료기와 함께 온라인 판매 가격을 점검한 뒤, 20개 업체를 '블랙리스트'로 관리하면서 공급 중단을 실행하기도 했다. 이는 거래 가격을 정해 그 가격대로 판매할 것을 강제하는 '재판매 가격 유지 행위'에 해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