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가글법'으로 코로나19 검채 채취…관련상품 출시

전남대 창업기업, '콧속 면봉'보다 불쾌감 덜해

 

 전남대학교 학내 창업기업이 코로나바이러스 검체를 고통 없이 채취할 수 있는 '구강 가글법'을 개발하고 관련 상품까지 출시해 주목된다.

 17일 전남대에 따르면 전남대 학내 창업기업인 바이오쓰리에스(대표이사 김두운 교수)는 작두콩의 특정 성분이 바이러스와 결합해 피부 표면에 강하게 붙어 있는 바이러스를 잘 떼어내는 성질을 활용해 가글을 통해 입 안의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할 수 있는 새로운 채취법을 개발했다.

 또 관련 상품 '빈 가드 가글'을 출시해 시판에 들어갔다.

 '구강 가글'은 그동안 콧속 깊숙이 면봉을 집어넣어 검체를 채취하면서 발생하는 피검자의 고통과 불쾌감을 없애준다.

 또한 항원 진단키트 검사에 접목할 경우 민감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진단 속도와 비용 절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전북대병원의 김달식 교수팀의 임상시험 결과 구강 가글은 입속에서 바이러스를 고농도로  채취할 수 있어 비인두도말(콧속 깊은 곳) PCR(유전자증폭) 법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Microbiology Spectrum' 2월 10일 자에 게재됐다.

 바이오쓰리에스는 구강 가글 개발을 위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전남대학교로부터 코로나바이러스 바이오 의료소재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 연구에 전념해 왔다.

 앞서 이 회사는 2021년 바이오소재로 손 세정제를 개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혁신제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7년에는 '바이러스를 제어하는 콩 단백질'을 연구해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뽑히기도 했다.

 김두운 대표는 "구강 가글은 면봉을 이용한 검사 대신 비침습적인 타액을 이용한 진단검사를 원하는 국민청원이 올라오는 상황에서 이를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조기 진단과 항원 진단키트의 효율성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