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성 난청 발생·악화 원인 규명"

세브란스병원, OSBPL2 유전자 돌연변이의 질병 유발 원인 연구논문

 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는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전성 난청을 일으키는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최재영·정진세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지헌영 교수 연구팀은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유전성 난청을 유발하는 과정과 치료 약물인 '라파마이신'의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세포생물학 분야 국네 학술지인 '오토파지'(Autopha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유전성 난청은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달팽이관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보청기 사용이나 인공 와우 수술로 치료한다.

 현재까지 121개 종류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유전성 난청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는 이 중에서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가진 유전성 난청 환자 20명이 치료를 받고 있다.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난청은 10대 중후반에서 발병하며 나이가 들수록 청력이 감소하는 진행성 난청이다.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난청을 일으킨다는 사실은 2015년 처음 보고됐으나 아직 원인이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우선 연구팀은 OSBPL2 유전자가 없는 실험쥐(마우스)를 만들고 이 마우스에서 난청이 발생하지 않는 사실을 확인했다. 반대로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과발현하는 마우스를 만들어 관찰한 결과 해당 마우스에서 난청이 생긴 것을 발견했다.

 이 과정에서 OSBPL2 유전자 돌연변이가 유전성 난청을 일으키는 원인과 과정 등이 확인됐다.

 정상적인 유전자 단백질과 달리 OSBPL2 유전자 돌연변이 단백질은 귀에 있는 세포의 자가포식(Autophagy) 기능을 하는 자가포식체(autophagosome)에 축적됐다. 자가포식은 세포가 자체적으로 체내 불필요한 물질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뜻한다.

 유전자 돌연변이 단백질이 귀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서 세포의 자가포식 기능이 억제돼 난청이 발생하는 것으로 연구팀은 결론내렸다.

 이에 연구팀은 세포의 자가포식 기능을 활성화하는 면역억제제 '라파마이신'이 유전성 난청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마우스에 라파마이신을 주입하자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 단백질이 귀에 축적되는 양이 주입 전과 대비해 50% 이상 줄어들면서 청력 손실이 억제됐다.

 이어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난청 환자 5명에게 라파마이신을 주입한 결과, 난청과 이명이 동반된 2명 모두 증상이 개선됐다. 라파마이신을 유전성 난청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확인된 대목이라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최 교수는 "연구를 통해 OSBPL2 유전자의 돌연변이 단백질이 귀에 있는 세포의 자가포식체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면서 유전성 난청이 발생한다는 것을 밝혔다"며 "유전성 난청에 대한 라파마이신의 효과를 입증한 만큼 유전성 난청 질환 극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단 한 번의 실험으로 약물 저해 효과 예측…"6만편 논문 뒤집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와 충남대 약대 김상겸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그룹 공동 연구팀은 단 한 번의 실험으로 효소 저해 상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고 16일 밝혔다. 효소 저해 상수는 신약 개발 시 효소와 약물, 약물과 약물 간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지표이다. 약물을 병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분석해 약물 저해 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수많은 농도 조건에서 반복 실험을 거쳐 저해 상수를 추정하는데, 지금까지 6만편의 논문에 활용될 만큼 이 방법이 널리 쓰였다. 그러나 동일한 기질과 저해제의 조합에도 연구마다 추정치가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사례가 보고됐다. 연구팀은 저해 상수 추정 과정을 수학적으로 분석해 데이터의 절반 이상이 실제 추정에 불필요하거나, 오히려 왜곡을 초래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수학적 모델링과 오차 지형(각 매개변수 조합에서 오차가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형도) 분석을 통해 단 하나의 농도만으로도 저해 상수를 추정할 수 있는 분석법을 제시했다. 저해제 농도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충분히 높은 저해제 농도 하나에서 추정한 결과가 더 정확하고 효율적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풍제약, '피라맥스' 코로나19 관련 유럽 특허 획득
신풍제약은 말라리아 치료제로 허가된 피라맥스(피로나리딘 인산염-알테수네이트)의 '유행성 RNA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지난 13일 유럽특허청(EPO)으로부터 특허를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피라맥스'의 신규 용도 특허는 주성분인 피로나리딘 또는 알테수네이트를 포함한 알테미시닌 유도체들뿐만 아니라 이들의 병용에 따라 구성된 복합제를 포함한다. 이 특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물론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등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 질환에 대한 효능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신풍제약이 설명했다. 신풍제약은 2023년 7월 OAPI(아프리카 지적재산기구) 소속 17개국에서 유행성 RNA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해 동일 조성물 특허를 등록했으며 올해 3월에는 중국에서 코로나19 및 메르스 감염에 대해 동일 조성물의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유제만 신풍제약 대표는 "피라맥스의 코로나 질환 치료에 대한 신규성과 진보성이 인정돼 글로벌 권리화의 기반이 확보된 것으로 생각한다"며 "마무리 중인 임상 결과를 토대로 식약처와 적응증 확대 허가 가능성을 논의해 코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