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의료서비스, 환자 권리 보장 측면서 부족함 많다"

심평원, '3차 환자경험평가' 결과 발표…간호사 평가, 의사보다 높아
'의사와 만나 이야기할 기회'·'회진시간 정보 제공'에 불만 많아

 환자들이 병원의 의료서비스와 관련해 환자 권리 보장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많이 느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병원에서 불만을 제기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전보다 증가했고, 환자의 수치감에 대한 병원측의 배려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전체 종합병원 359곳 기관 19세 이상 환자 5만8천29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1년(3차) 환자경험평가'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하루 이상 입원해 퇴원 후 2~56일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작년 5~11월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조사는 ▲ 간호사 ▲ 의사 ▲ 투약 및 치료과정 ▲ 병원 환경 ▲ 환자권리 보장 ▲ 전반적 평가 등의 영역으로 나뉘어 실시됐다.

 조사 결과 환자들이 병원 서비스에 대해 종합적으로 내린 평가 점수는 100점 만점 중 82.46점으로, 1차 조사(2018년 8월 발표)의 83.94점, 2차 조사(2020년 7월 발표)의 82.72점과 비슷했다.

 조사 영역 중에서는 간호사 영역이 86.38점으로 가장 점수가 높았고 의사 영역(81.72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환자권리보장(78.77점) 영역이 제일 저조했다.

 환자권리보장 영역과 관련해서는 '불만제기 용이성'을 묻는 질문(입원 기간 동안 불만이 있는 경우 말하기 쉬웠습니까)에서 특히 67.35점의 낮은 점수가 나왔다.

 1차 조사 때의 72.96점, 2차 조사 때의 71.58점보다 평가 점수가 낮아졌다.

' 수치감 관련 배려'(검사나 치료 과정에서 신체노출 등 수치감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 받았습니까) 관련 항목에서도 1차 84.80점, 2차 80.36점보다 낮은 74.29점이 나왔다.

 응답자들은 검사나 치료 결정 과정에서 참여가 있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77.02점의 낮은 점수를 줬다.

 심평원은 "환자권리보장 영역 점수 향상을 위해 유관단체, 학회와 연계한 의료질 향상 지원 활동 등 제도적인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간호사 영역과 관련해서는 ▲ 존중/예의 ▲ 경청 ▲ 병원생활 설명 ▲ 도움요구 처리노력 등과 관련한 4가지 질문이 주어졌는데, 각 질문에 대한 점수가 80점대 중후반으로 고르게 높았다.

 반면, 응답자들은 의사와 관련해서는 ▲ 의사와 만나 이야기할 기회 ▲ 회진시간 관련 정보 제공과 관련한 질문에 대해 상대적으로 박한 평가를 내렸다.

 '귀하나 보호자가 담당 의사를 만나 이야기할 기회가 자주 있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평균 74.63점을 줬고, '담당 의사의 회진시간 또는 회진시간 변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셨습니까'라는 항목에 대해서도 76.96점의 평가를 내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야간 소아환자 뺑뺑이' 막아라…심야 소아 진찰료 2배로
정부가 야간 소아 진찰료를 2배로 올리고, 소아청소년과 전공의에게 매월 100만원의 수당을 지급하는 등 '소아의료 붕괴'를 막기 위한 대책을 내놨다.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센터와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도 확충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이런 내용이 담긴 '소아 의료체계 개선 후속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2월 발표한 개선대책의 틀에서 구체적인 계획들을 내놓은 것으로, 국고와 건강보험 재정 등 약 3천억원 규모의 자금이 우선 투입될 계획이다. ◇ '소아과 전공 기피' 막아라…수련수당 더 주고, 수가도 높인다 이번 대책은 저출생 등으로 위기에 놓인 소아청소년과를 살리고자 전공의들의 소아과 지원을 끌어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의료계는 높은 수련 비용과 의료사고 시 법적 부담 등으로 전공의들의 소아과 기피가 심해진다고 주장한다. 올해 상반기 소아과 전공의 모집 지원율은 정원 대비 16.6%에 그쳤다. 정부는 소아과 전공의와 소아 분야 전임의를 대상으로 매월 100만원씩의 수련보조수당을 지급하기로 했다. 고의가 아닌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해 현실성 있는 보상방안을 검토한다. 법률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협의체를 도입해 소아 의료인의 법적 부담도 덜어준다. 지난 2017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중증 아토피 피부염에 면역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 권장"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는 면역 억제제 메토트렉세이트가 권장할 만하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질환이다. 바르는 약으로 호전이 안 될 정도의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는 사이클로스포린,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면역 조절제가 사용된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 피부과학 연구소 소아 피부과 전문의 크라스텐 플로르 교수 연구팀이 영국과 아일랜드의 13개 의료센터에서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 아이들과 청소년 103명(2~16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미국 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52명에게는 사이클로스포린, 51명에게는 메토트렉세이트가 9개월 동안 경구 투여됐다. 치료가 계속되는 9개월 동안은 증상 호전의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가 끝난 후 6개월까지 경과를 추적 관찰했다. 치료 시작 12주까지는 사이클로스포린이 메토트렉세이트보다 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증상의 중증도도 더 좋아졌다. 그러나 치료비용이 상당히 더 들었다. 메토트렉세이트는 12주 이후와 치료가 끝난 후 객관적인 증상 억제가 사이